
5일 토스뱅크에 따르면, 토스뱅크가 출범한 지난해 10월 5일부터 지난달 31일까지 전체 금리인하요구 건수가 총 2만4910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말 5대 시중은행이 6개월간 고객들로부터 받은 평균 금리인하 신청건수 1만7809건 대비 40%가량 많은 수치다.
토스뱅크 관계자는 “이는 신규 은행인 토스뱅크가 지난해 대출영업을 9일 만에 중단했던 것을 감안하면 매우 높은 수치”라고 강조하며 고객들에게 선제적으로 금리인하 요구권을 제안한 덕분으로 분석했다. 토스뱅크에서 금리인하를 신청한 고객 중 22%가 혜택을 받았으며, 특히 중저신용 고객의 경우 42.4%가 수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토스뱅크는 금리인하를 신용도가 개선된 고객에게 이를 먼저 제안하고 있다. 토스뱅크 관계자는 “대출 계약 체결 후 취업이나 승진, 이직, 성실상환 등 신용점수가 상승된 사실을 근거로 고객이 발동할 수 있는 정당한 권리”라고 밝혔다.
토스뱅크 고객들은 신용도 개선 여부를 알지 못하더라도 앱 내에서 ‘금리 낮아질 때 알림받기’에 동의하면 토스뱅크로부터 먼저 제안받을 수 있다. 알림받기에 동의한 고객 중 37.5%는 금리인하 혜택을 누린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인하가 승인된 고객들은 5%p 이상 금리가 낮아지는 효과를 누렸다. KCB 기준 최대 379점까지 신용도가 개선되며 ‘크레딧 빌딩’ 효과도 발생했다. 금리인하 승인 고객 가운데 33%가 신규 대출 후 일주일 이내 신청했음에도 받아들여지기도 했다.
중저신용 고객들의 경우 토스뱅크에서 대출을 받은 뒤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현금서비스나 카드론 등 제2, 3금융권의 대출을 상환하는 등 두드러지는 경향성을 보였다. 이후 고객들이 금리인하를 신청하여 토스뱅크가 이를 받아들이면서 신용도 개선 효과가 발생했고, 이자비용 부담 절감과 함께 대출 한도를 추가로 확보할 수 있었다.
금리인하가 거절된 고객들은 연소득이 감소했거나 추가 대출을 받는 등의 사유로 신용점수가 하락한 것이 주 원인으로 분석됐다. 토스뱅크에서 대출을 받은 이후 저축은행, 카드사 등 제2, 3금융권에서 추가 대출을 받은 경우 등이었다.
토스뱅크 관계자는 “토스뱅크의 고객이라면 금리인하요구는 반드시 누려야 할 권리”라며 “금리인하와 신용도 개선 등 금융소비자로서 고객들이 정당한 권리를 실현할 수 있도록 토스뱅크가 더 많은 부분을 고민하고 먼저 제안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경찬 기자 kkc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