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국투자증권(대표 정일문닫기

NH투자증권(대표 정영채닫기

앞서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은 지난 1월 17일자로 원화 발행어음 수익률도 상향 조정한 바 있다.
미래에셋증권(대표 최현만닫기

KB증권(대표 김성현닫기

발행어음은 증권사의 자체 신용을 기반으로 약정수익률을 제공하는 만기 1년 이내 어음이다. 거치/적립식으로 시중금리 이상의 약정수익률을 추구한다.
자기자본 4조원 이상 초대형 IB가 발행어음업 인가를 받고 자기자본의 200%까지 발행할 수 있으며, 국내 증권사 중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 미래에셋증권 등 4곳에서 판매 중이다.
최근 발행어음 수익률이 높아진 이유는 금리 상승 때문이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 2021년 8월, 11월, 그리고 2022년 1월까지 세 차례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현행 기준금리는 1.25%까지 높아져 코로나19 이전 수준까지 회복했다. 증권사들은 발행어음 주요 투자처로 꼽히는 회사채 금리가 높아져 마진에 여유가 생겼다.
고금리 발행어음 특판도 속속 나왔다.
NH투자증권은 지난 3월 농협금융지주 출범 10주년을 기념해 연 10%(세전) 적립형 발행어음 특판을 전진 배치했다. 앞서 한국투자증권도 올해 1월에 1년 만기 연 3.2% 금리의 거치식 발행어음 특판을 선보였다.
한동안 주춤하다는 평가도 있었으나 금리상승기 국면에 발행어음 투심몰이가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미국 연준(Fed)의 금리인상에 시동이 걸리면서 국내 통화완화 축소 기조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고, 증권사들은 추가적으로 수익률 상향, 특판 등으로 투자 수요를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점쳐진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금리인상이 본격화되고 증시 변동성이 커진 데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회사채 금리도 높아지면서 여러모로 발행어음 투자 수요에 부합하는 상품 기획이 가능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