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한국금융신문 DB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원전 공격 소식 등으로 사태 장기화 우려가 겹치면서 금융시장 내 안전자산 선호가 확산되고 글로벌 강달러가 부각됐다.
이날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보다 12.9원 상승한 1227.1원에 마감했다.
원/달러 환율이 종가 기준 1220원대로 올라선 것은 2020년 6월 2일(1225.4원) 이후 1년 9개월 만이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4.8원 오른 1219.0원에 개장했고, 직후 1220원대로 올라서는 모습을 보였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안전자산 수요가 증가하고, 국제유가 급등 속에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는 양상이다.
지난 4일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자포리자 지역 원전을 점령한 가운데 전쟁이 장기화 수 있다는 전망은 특히 위험선호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다.
유럽 지역이 전쟁의 거점이 되면서 유로화가 약세를 보이는 것도 강달러 압력이 되고 있다.
배럴당 130달러를 돌파한 국제유가도 불안 요소다. 지난 6일(현지시간) 장중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130.50달러까지 올랐고, 브렌트유는 139.13달러까지 뛰었다. 각각 2008년 7월 이후 최고가다.
외국인의 증시 순매도도 부각됐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62.12포인트(-2.29%) 하락한 2651.31에 마감했다.
코스피 수급을 보면, 외국인이 1조1700억원을 순매도해서 기관(-9600억원)과 함께 지수를 끌어내렸다.
다만 중공업 수주를 비롯한 수출업체 고점 매도(네고), 당국 경계 등이 추가적인 원/달러 환율 상승은 제약한 요인으로 풀이된다.
민경원 우리은행 연구원은 "원/달러 환율은 유로화 급락이 연출한 글로벌 강달러, 동유럽 긴장 수위 유지에 따른 위험선호 위축 등 영향에 단기 고점을 탐색했다"며 "우크라이나 사태가 금방 해결될 조짐이 관찰되지 않으면서 위험자산에 대한 투심이 악화된 점도 위험통화인 원화 약세 배팅 분위기를 부추기는 요인 중 하나"라고 말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