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금융권에 따르면 기존 서울사랑상품권을 판매한 제로페이의 서울사랑상품권 잔액 등 결제 내역을 오는 28일까지 ‘서울페이플러스’로 일괄 이관할 예정이었지만 일정을 연기하고 소비자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개별 이관을 시행하기로 했다.
데이터 이관이 최종 완료되기 전까지 지난해까지 발행된 서울사랑상품권 결제와 잔액, 결제 내역 확인 등은 기존 제로페이에서 가능하며 ‘서울페이플러스’와 제로페이를 함께 사용해야 하는 소비자 불편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지난 10일부터 기존 구매한 서울사랑상품권의 잔액 환불을 진행하고 있으며, 잔액 3500억원 중 약 92억원이 환불됐다.
제로페이 데이터 이관 논란은 서울사랑상품권 운영사가 기존 제로페이를 운영하는 한결원에서 신한컨소시엄으로 변경되면서 시스템 연동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아 결제 오류 등으로 소상공인과 시민들에게 불편과 혼란을 초래해 불거졌다.
서울시는 한결원과 서울사랑상품권 위탁운영 계약을 종료하고 신한카드와 신한은행, 티머니, 카카오페이가 참여하는 신한컨소시엄을 새로운 운영사로 선정한 바 있다. 이후 서울시와 신한컨소시엄은 지난달 생활결제플랫폼 ‘서울페이플러스’를 출시했으나 결제 오류와 내역 확인 불가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
서울시는 한결원에 3차례에 거쳐 판매 대행에 필요한 가맹점 정보 일체를 요구했으나 이관된 자료는 극히 일부 정보에 불과해 가맹점 및 이용자의 불편을 초래했다고 밝혔으며, 한결원은 법률검토를 거쳐 서울시에게 제공 가능한 가맹점 정보 전부를 이관 완료했다고 반박했다.
오세훈닫기

이후 데이터 이관을 두고 원활한 협의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서울시는 제로페이 데이터를 ‘서울페이플러스’로 이관하는 것과 관련해 개인정보보호법상 문제가 없는지에 대한 유권해석을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의뢰하면서 책임 소재가 결정될 전망이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국무총리 직속 기관으로 개인정보 처리와 보호 정책을 심의·의결하는 합의제 행정기관이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유권해석은 통상적으로 2주에서 한달 정도 소요될 예정이다.
서울사랑상품권은 서울시 25개 자치구에서는 발행하는 모바일 상품권으로, 스마트폰을 통해 구매 및 결제가 가능하다. 서울사랑상품권은 서울페이플러스와 신한쏠, 티머니페이, 머니트리 등에서 10%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다. 코로나19 이후 소상공인 지원책으로 서울사랑상품권 사용이 늘어나면서 지난해 서울사랑상품권의 발행액은 1조4360억원을 기록하며 지난 2020년 6510억원 대비 급증했다.
김경찬 기자 kkc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