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29일 쿠팡은 자사 구독서비스인 와우멤버십 가격을 처음으로 2900원에서 4990원으로 인상했다. 쿠팡 측은 따로 인상 이유를 밝히지 않았으며 쿠팡와우 서비스를 통해 누릴 수 있는 10가지 혜택을 강조했다.
하나금융투자는 지난해 쿠팡의 매출과 총 거래액을 각각 전년 동기 대비 47%, 56% 증가한 20조5000억원과 34조3000억원으로 예상했다. 연간 영업 손실 규모는 1조5630억원으로 지난 2020년 약 5500억원보다 1조원이 더 많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6월 있었던 덕평물류센터의 화재를 감안하더라도 확연하게 늘어난 수치다.
쿠팡의 주가 역시 계속 떨어지고 있다. 상장 직후 69달러(한화 약 8만2500원)까지 치솟았던 주가는 3일 장마감 기준 28.72달러(한화 약 3만4300원)을 기록했다. 이는 약 60% 감소한 수치다.
업계는 적자를 탈출하고 사업 정상화로 가는 길목에서 쿠팡이 불가피하게 자사 구독서비스인 ‘쿠팡와우’의 가격을 인상했을 것이라 보고 있다. 쿠팡 측은 꾸준히 회사의 캐시카우가 자사 멤버십 서비스라고 주장했다. 박종대 하나금융투자 애널리스트는 “전년 대비는 물론 전년 동기 대비 영업손실 축소가 가시화되어야 한다”며 “신규 사업 비용 부담을 기존 사업 정상화로 극복할 수 있는 사업구조를 보여야 한다”고 분석했다.
쿠팡이 단행한 이번 가격 인상은 신규 회원 뿐 아니라 기존 회원들에게도 적용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 로켓와우 회원 수는 약 500만명 정도다. 키움증권은 쿠팡이 기존 회원 대상으로 가격 인상을 진행한다면 연간 매출과 이익은 각각 1250억원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업계는 이번 인상으로 큰 고객 이탈이 일어나지는 않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박상준 키움증권 애널리스트는 “쿠팡이 제공하고 있는 다양한 상품 구색, 신속하고 정확한 배송, 쿠팡플레이 시청 등 부가 서비스를 감안한다면 로켓와우 멤버십은 여전히 가성비 있는 서비스다”고 했다. 서용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역시 “쿠팡의 와우 경험이 가격 대비 소비자에게 주는 혜택이 더 크기 때문에 이번 가격 인상은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나선혜 기자 hisunny20@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