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원장 정은보닫기

올해 10월 중 신규연체 발생액은 9000억원으로 전월(8000억원)과 비슷했다. 연체채권 정리규모는 6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1조1000억원 감소했다. 은행은 보통 분기말에 연체채권 관리를 강화하기 때문에 분기 중 상승하다가 분기말에 하락하는 경향을 보인다.
부문별 현황을 살펴보면, 기업 대출 연체율은 10월말 기준으로 0.30%를 기록했다. 이는 전월 말(0.30%) 대비 0.01%포인트 증가한 수준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0.42%)과 비교하면, 0.12%포인트 낮아졌다.
대기업 대출 연체율(0.25%)은 전월말(0.28%) 대비 0.04%포인트 하락한 반면, 중소기업 연체율(0.32%)는 전월말(0.30%) 대비 0.02%포인트 올랐다. 다만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각각 0.03%포인트, 0.14%포인트 하락했다.
중소법인 연체율(0.41%)은 전월말(0.40%) 대비 0.02%포인트 상승했고,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0.20%)은 전월 말(0.19%) 대비 0.01%포인트 증가했다.
가계대출 연체율(0.18%)은 전월말(0.17%)보다 0.01%포인트 높아졌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0.11%)은 전월말(0.11%)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고,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가계대출(신용대출 등) 연체율(0.33%)은 전월말(0.30%) 대비 0.03%포인트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10월말 국내은행 원화대출 연체율은 전월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는데, 코로나19 영향은 따로 미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며 “사실 일정 이상의 연체는 항상 나오는 게 자연스러운데 사실 과거부터 더 떨어질 수 있을까 싶을 정도로 연체율이 떨어지고 있는데, 더 떨어지더라도 그 폭은 과거보다 작을 것이고, 오르더라도 부실하거나 위험하다고 볼 정도는 아니다”고 설명했다.
임지윤 기자 dlawldbs20@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