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은 금통위는 25일 예정된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 연 0.75%에서 1.00%로 0.2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준금리를 동결한 지난달 12일 금통위 직후 이주열닫기

금융투자협회가 지난 10일부터 15일까지 채권 보유·운용 관련 종사자 100명(52개 기관)을 상대로 설문한 결과 채권 전문가 90%는 한은 금통위가 25일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전망했다. 금투협은 “물가 상승세와 가계부채 증가로 인한 금융불균형 등을 고려해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응답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한은은 코로나19 팬데믹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3월 기준금리를 연 1.25%에서 0.75%로 낮추는 빅컷을 단행한 데 이어 5월에는 0.50%로 한 번 더 낮춰 전례 없던 초저금리 시대를 열었다. 올해 들어서는 8월 기준금리를 0.75%로 한 차례 올린 후 지난달 동결했지만 25일 다시 추가 금리 인상에 나서 사실상 제로금리 시대를 끝낼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금통위에서도 금통위원 6명 중 4명의 위원이 기준금리 추가 인상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물가상승 압력이 커지고 있는 데다 가계부채 급증 등 금융 불균형 완화가 시급하다는 이유에서다.
시장에서는 한국은행이 이번 금통위에서 내년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도 시사할 것으로 보고 있다. 가계부채 증가속도가 주요국 대비 빠르고, 지난달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9년 9개월 만에 3%를 웃도는 등 인플레이션(지속적인 물가 상승) 우려도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내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을 대비한 정책 여력 확보 필요성 등도 기준금리 인상 압력을 높이는 요인으로 자리 잡고 있다.
문제는 기준금리 인상이 시중금리를 더 끌어올려 가계의 대출 이자 부담을 더 키우게 된다는 점이다.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 코픽스 연동)는 지난 19일 기준 연 3.44~4.861% 수준이다. 지난해 12월 말(2.52∼4.054%)과 비교하면 올 들어 상단은 0.92%포인트, 하단은 0.807%포인트 상승했다.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형) 금리는 3.76~5.122%로 같은 기간 상하단이 0.922~1.07%포인트 뛰었다. 신용대출 금리(1등급·1년)는 3.4∼4.63%로 지난해 말에 비해 0.75~0.87%포인트 상승했다. 대출금리가 급격하게 오른 건 시장금리 상승과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규제가 맞물린 결과다. 한국은행이 25일 기준금리를 추가로 인상하면 연말 주담대 금리가 6%를 넘어설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신용대출 금리도 조만간 5%대에 육박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은은 기준금리가 연 1%까지 오르면 가계의 연간 이자 부담이 지난해 말과 비교해 5조8000억원 늘어날 것으로 추산했다. 대출자 1인당 연이자 부담은 작년 말 271만원에서 약 30만원 늘어난 301만원으로 추정됐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