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에 따르면 매출액은 글로벌 경제 활성화와 락다운(Lock-Down) 완화에 따른 미국·인도·베트남 등 주요 거점 이연 수요 발생으로 인한 물동량이 상승했으며, 완성차 중심 항만 물동량 증가, 이커머스 수주 확대와 취급 물량 증가, 택배 기업 고객 계약단가 현실화 등으로 늘었다.
영업이익은 국내외 물동량 증가와, 택배 적자 고객 디마케팅, 기업 고객 계약단가 현실화 등으로 인해 올랐다.
이에 CJ대한통운은 4분기에 ▲신기술 도입 기반 현장 자동화, ▲AI·빅데이터 플랫폼 기반 운영 최적화, ▲DT(디지털 전환) 가속화 등 TES(기술, 엔지니어링, 시스템&솔루션, Technology, Engineering, System & Solution) 기술 확보를 통한 디지털 물류 역량 강화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나선혜 기자 hisunny20@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