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감원은 3일 은행연합회에서 정은보 원장과 금융지주 회장 간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정은보 원장과 금융지주 회장 모두 국내 금융지주회사의 대외경쟁력이 아직은 취약하다는데 공감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같이 했다.
정은보 원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국내 금융지주그룹이 국제적 수준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며, “검사 업무를 위규 사항 적발이나 사후적 처벌보다 위험의 선제적 파악과 사전적 예방에 중점을 두고 개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금감원은 현행 종합·부문검사 등으로 구분되는 검사방식을 금융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검사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개선하며, 실제 검사 현장과 제재 심의 과정에서 금융사와의 소통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지주 내 저축은행 등 소규모 금융회사에 대해서는 지주회사의 자체 관리능력 등을 고려하여 검사주기를 탄력적으로 조정할 예정이다.
또한 정은보 원장은 금융환경 변화에 대한 유연한 대응을 저해하는 여러 애로사항을 논의하며 국내 금융지주그룹의 경쟁력 강화와 시장가치 제고 지원도 약속했다.
정은보 원장은 “은행의 유동성 커버리지 비율 산정 방식을 개선해 과도한 고유동성 자산 보유 부담을 줄일 계획이다”고 밝혔다. 증권사의 경우 탄소배출권 및 상장리츠 관련 업무의 자본 보유의무를 경감해 수익성 다변화를 지원하고, ESG 경영 및 상장리츠 시장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정은보 금융감독원장(왼쪽 네 번째)과 금융지주 회장들이 3일 간담회에 참석했다. 김태오 DGB금융지주 회장과 김기홍 JB금융지주 회장,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 정은보 금융감독원장,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 손병환 NH농협금융지주 회장, 김지완 BNK금융지주 회장(왼쪽부터). /사진제공=금융감독원
이미지 확대보기영업점 감소에 따른 금융취약계층의 불편을 완화할 수 있는 여러 방안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으며, 금융소비자보호를 위해 금감원과 금융사가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에 의견을 같이 했다.
또한 정은보 원장은 리스크 요인을 면밀히 점검하고 손실흡수능력을 확충해 줄 것을 강조했으며 가계부채의 연착륙을 위해 지난달에 발표한 ‘가계부채 관리 강화방안’을 차질없이 이행해 실수요자와 서민·취약계층이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유의해 주기를 부탁했다.
정은보 원장은 “금융감독 방향의 전환에는 금감원의 노력과 더불어 금융회사들의 적극적 협력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며, “지주회사 차원의 적극적인 제안과 지주회사 회장님들의 협조를 당부하며 금감원도 금융지주그룹 등 국내 금융회사들이 견실한 성장을 이뤄나갈 수 있도록 지원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경찬 기자 kkc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