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은 22일 2021년 3분기 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3분기 매출은 4조 3520억원, 영업이익은 2204억원, 당기순이익은 1484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7.7%, 영업이익은 57.6%, 당기순이익은 77.1% 증가해 안정적인 실적을 달성했다. 영업이익률 역시 5%대로 개선됐다.
3분기 현대건설은 국내외 대형 현장 공정 본격화와 신규 해외 공사 착공 등으로 성장세를 이어갔다. 사우디 마잔 가스처리 공사, 카타르 루사일 프라자 타워 공사 등 해외 대형현장이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현대케미칼 HPC Project Package-1현장 등 플랜트 공사와 디에이치 퍼스티어 아이파크 현장 등 지속적인 국내 주택매출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매출 및 영업이익이 상승했다.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57.6%증가한 2204억원을 기록했다. 주택사업을 비롯한 지속적 매출 상승세 더불어, 해외부문 수익성 개선이 이뤄지며 큰 폭으로 상승했다.
3분기 누적기준으로는 매출 12조 8851억원, 영업이익 5622억원, 당기순이익 4277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누적 매출은 1.9%, 영업이익은 22.5%, 당기순이익은 22.3% 증가해 시장 전망에 부합하는 실적을 달성했다.
수주는 창원 마산회원 2구역 재개발, 오산 갈곶동 지역주택조합 신축공사, 제주 한림 해상풍력발전 투자개발 사업 등 국내사업 수주와 싱가폴 Shaw Tower 공사, 페루 친체로 신공항 터미널 PKG2공사, 사우디 하일-알 주프 380kV 송전선 공사 등 해외공사를 통해 23조 6371억원을 기록했다.
수주잔고도 전년 말 대비 18.3% 증가한 77조 2,312억원을 유지하고 있어 약 4년치 안정적인 일감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용등급은 업계 최고 수준인 AA-등급으로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이어가고 있으며, 지불능력인 유동비율은 200.2%, 부채비율은 103.2%를 기록했다. 현금 및 현금성 자산(단기금융상품 포함)은 5조 2567억원이며, 순 현금도 3조653억원으로 현금 유동성도 안정적이라고 현대건설은 전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변화와 불확실성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도 본원적 EPC 경쟁력을 보다 강화하고, 건설 자동화, 스마트시티, 신재생, 친환경 등 신사업 추진에 총력을 기울여 투자개발과 운영까지 건설 전 영역을 아우르는 ‘Total Solution Creator (토탈 솔루션 크리에이터)’로 거듭날 것”이라고 밝혔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