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이 이날부터 적용할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 코픽스 연동)는 연 3.031~4.67%로 8월 말(2.62~4.19%)에 비해 0.411~0.48%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지난 15일 발표된 9월 기준 신규 코픽스(1.16%)를 반영한 결과다.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형) 금리도 같은 기간 연 2.92~4.42%에서 3.14~4.95%로 오른다. 특히 최고 금리가 0.53%포인트 뛰어 연 5% 수준에 육박했다. 신용대출 금리(1등급·1년)의 경우 연 3.02~4.17%에서 3.18~4.43%로 조정된다.
이에 따라 8월 말 이후 한 달 반 새 주요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에서 2%대 금리는 완전히 사라지게 됐다.
이 같은 대출금리 상승세는 기준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시장금리가 상승하면서 지표금리가 뛰는 데다 금융당국의 강력한 대출규제로 은행들이 우대금리를 줄이거나 가산금리를 올리는 등 대출 문턱을 높이고 있기 때문이다.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의 기준이 되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는 9월 1.16%로 8월보다 0.14%포인트 올랐다. 2017년 12월(0.15%포인트) 이후 3년 10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이다.
한국은행이 사실상 내달 기준금리 인상을 예고한 만큼 앞으로 대출금리 상승 속도는 더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이주열닫기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다음달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재 연 0.75%에서 1%로 0.25%포인트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한은은 기준금리가 연 1%까지 오르면 가계의 연간 이자 부담이 지난해 말과 비교해 5조8000억원 늘어날 것으로 추산했다. 대출자 1인당 연이자 부담은 작년 말 271만원에서 301만원으로 30만원 불어날 것으로 봤다.
한은은 당시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가계 및 기업의 채무상환부담, 금융기관의 복원력 변화 등을 살펴본 결과 가계·기업 및 금융기관들이 감내가능한 수준인 것으로 평가된다”면서도 “일부 취약부문의 경우 금리상승과 더불어 각종 금융지원조치 종료로 부실위험이 커질 가능성이 적지 않은 만큼, 선별적 정책대응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