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해보험사 전체 평균 금융민원 추이/자료 제공= 손해보험협회
18일 생명·손해보험협회 공시에 따르면, 생명보험사 올해 상반기 민원은 1만2967건으로 전년 동기(1만5124건) 대비 14.3% 줄었다. 반면 손보사의 올해 상반기 전체 민원건수는 1만9298건으로 전년 동기(1만8905건) 보다 2.0%(393건) 늘었다. 2년 전인 2019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5000건가량 증가한 수치다. 금융권 민원 중 손보사가 차지하는 비중 역시 같은 기간 30%에서 50%로 크게 늘었다.
분기별로 살펴 보면, 2분기 보험사 민원은 1만6429건으로, 금소법 시행 전인 1분기 1만5836건 대비 오히려 3.7% 증가했다. 생명보험사 민원은 전 분기 보다 2.2% 줄어든 6409건에 그친 반면, 동기간 손해보험사 민원은 7.9% 늘어난 1만20건에 달했다.
보험사별로 봤을 땐, 손해보험사 중 메리츠화재의 민원건수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메리츠화재의 상반기 민원건수는 2471건으로 전년 동기 1751건 보다 41.1% 늘어났다. 특히, 장기보장성보험 관련 민원건수는 1998건이다. 이는 전년 동기 1267건 대비 57.7% 증가한 수치다.
DB손해보험의 민원도 2935건의 전년 동기 보다 13.6% 늘어난 3335건을 기록했다. KB손해보험도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1.3% 증가했다.
상품별로 보면, 보험사 2021 상반기 전체 민원 증가엔 특히 보장성 상품 민원이 주효했다. 보장성보험의 비중이 가장 높고, 특히 2분기에는 보장성 상품의 민원이 더욱 증가했다.
손보사의 2분기 보장성 상품 관련 민원은 5141건으로, 전분기 대비 10.8% 늘어났다. 이 기간 자동차 보험 민원은 오히려 3701건에서 3778건으로 2.0% 감소했다.
실제로 손보사의 장기인보험 매출은 4세대 실손보험이 7월 1일 도입되며 실손 절판마케팅이 늘어난 것과 비례해 증가했다. 삼성·현대·DB·KB·메리츠·한화가 올 상반기동안 신규 판매한 3세대 실손보험은 167만1850건이다. 실손 판매량이 가장 많았던 현대해상의 경우 장기인보험 신계약 초회보험료는 165억원으로 상위사 가운데 가장 높았다. 그 다음 DB손보 145억원, 삼성화재 139억원, 메리츠화재 128억원 등이다.
생보사 보장성 상품 민원도 전 분기 보다 5.4% 늘어난 1403건을 기록했다. 동기간 종신보험 민원은 2분기 3393건으로 1분기 보다 30건(0.8%) 늘어나는 데 그쳤다.
지난 3월 25일 금융소비자보호법이 시행되며 보험사들이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불완전판매 줄이기에 나섰지만 기대만큼의 효과는 아직 없는 것으로 보인다. 9월 24일까지 계도기간을 끝으로 보험사의 민원이 줄어드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임유진 기자 uj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