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3년간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는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높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은 11일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주요 리스크 요인 및 발생 가능성 등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이같이 발표했다. 조사대상은 국내 금융기관 임직원, 금융업권별 협회 및 금융‧경제 연구소 직원, 해외 금융기관 한국투자 담당자 등 총 82명이었다. 조사기간은 올해 5월10일부터 25일까지였다.
권용준 연구원은 이번 서베이에서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주요 리스크 요인은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 코로나19 재확산 및 백신 접종 지연 가능성, 글로벌 인플레이션 등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단순 응답빈도수 기준으로 대내 리스크요인은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46%), 코로나19 재확산 및 백신접종 지연 가능성(37%), 부동산시장 불확실성(29%)으로 나타났다.
대외 리스크요인은 글로벌 인플레이션(37%), 글로벌 자산가격 상승 및 급격한 조정(34%), 미중갈등 심화(34%) 등으로 조사됐다.
1순위 응답수 기준으로는, 1순위 리스크 요인은 코로나19 재확산 및 백신 접종 지연 가능성(16%), 글로벌 인플레이션(15%),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1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발생시계로 분류할 때 1년 이내 단기 리스크 요인으로 코로나19 재확산 및 백신 접종 지연 가능성, 글로벌 자산 가격 상승 및 급격한 조정이 꼽혔다.
1년에서 3년 사이 중기시계는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 글로벌 인플레이션, 미중 갈등 심화, 부동산시장 불확실성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인플레이션, 미중 갈등 심화, 글로벌 자산 가격 상승 및 급격한 조정은 발생 가능성이 높고, 발생시 금융시스템에 미칠 영향력도 큰 것으로 조사됐다.
주요 리스크 요인의 변동 내용을 살펴보면, 작년 하반기 서베이(2020.12월) 결과와는 달리 응답자의 50% 이상이 선택한 두드러진 리스크 요인은 없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 글로벌 인플레이션, 미중 갈등 심화, 부동산시장 불확실성 등을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새롭게 지적됐다.
단기(1년 이내)에 금융시스템 위기를 초래할 수 있는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은 지난 서베이(2020.12월)에 비해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중기 시계(1~3년)에서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은 지난 서베이(2020.12월)와 비교할 때, 부정적 응답과 긍정적 응답비중이 모두 상승했다.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향후 3년간)는 지난 서베이(2020.12월)와 마찬가지로 높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안정성 제고를 위해 현 시점에서 시급한 과제로는 세계 각국의 코로나19 대응 지원조치 정상화 또는 완화적 정책기조 축소 가능성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지원조치 및 유동성 공급이 단기적으로 금융안정에 기여하였으나 기업, 가계, 정부 등의 부채가 크게 증가한 만큼 중기적 시계에서 금융시스템내 잠재 리스크가 커졌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됐다.
또 지원조치 종료 이후 기업, 가계의 신용위험이 현재화할 가능성이 있다거나, 미 연준 등의 통화정책 완화기조 축소 논의가 확대될 경우 높은 가계부채 수준이 금융시스템에 충격을 줄 수 있다는 견해 등이 제기됐다.
강규석 기자 nomadk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