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일 CEO스코어가 글로벌 매출 10대 반도체 기업의 시총을 분석한 결과 (지난 27일 종가 기준) TSMC의 시총은 5432억9300만달러(약 605조7717억원)로 1위를 차지했다. 지난해(2767억8100만달러)와 비교해 96.3% 급등한 수치다.
삼성전자의 시총은 4254억2000만달러(약 475조1900억원)로 2위를 유지했다. 지난해(2666만8900만달러)보다 59.5% 상승한 수치다. TSMC와 삼성전자 간의 시총 격차는 지난해 100억9100만달러에서 올해 1178억8300만달러로 약 12배가량 벌어졌다.
올 1분기 매출은 삼성전자가 19조원으로 TSMC(약 14조4000억원)보다 높았다. 그러나 영업이익은 TSMC가 53억6000만달러(약 6조원)로 3조3700억원을 기록한 삼성전자보다 약 두 배가량 높다.
지난해 말부터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 현상이 발생하면서, 파운드리 기업인 TSMC의 시총이 급격하게 증가했다. 또 지난해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점유율도 TSMC가 54%로, 삼성전자(17%)와 3배 이상의 격차를 보인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TSMC는 미국 애리조나에 6개 첨단 파운드리 공장을 짓는 계획을 발표하며 파운드리 점유율 확대에 공격적으로 나서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삼성전자도 올 초 반도체 슈퍼사이클의 영향으로 주가가 9만원대를 넘어섰고, 일각에선 10만원을 넘을 것이란 기대감도 형성됐다. 그러나 이재용닫기

미국 엔비디아는 3855억7900만달러로 지난해와 비교해 81.8% 급등하며 3위에 올랐다. 인텔은 2331억 1400만달러로 전년 대비 13.4% 감소했다. 글로벌 매출 10대 반도체 기업 가운데 시총이 감소한 기업은 인텔이 유일하다.
SK하이닉스는 올해 817억9400만달러로 지난해(530억5200만달러)보다 54.2% 증가하며 9위를 차지했다. 대만의 통신 반도체 제조 기업인 미디어텍은 532억6800만달러로 10위에 올랐다. 시총은 가장 낮지만, 시총 상승률은 100.3%로 10대 반도체 기업 가운데 가장 높았다.
정은경 기자 ek7869@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