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 회장은 27일 오후 8시 열린 ‘2021 P4G 서울 정상회의 비즈니스 포럼’ 기조 연설에서 “기업의 ESG 측정 결과를 토대로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효과가 높아진다”며 “인센티브의 존재는 기업이 환경문제를 중요하게 인식하게 만들고 관련 혁신 사업과 기술 개발을 가속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외부효과로 볼 수 있는 기업의 ESG 활동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은 친환경에 대한 기업의 투자를 지속시켜 선순환 생태계를 만들게 될 것”이라며 “과거 예정된 투자규모에 대해서 사전적으로 보조금을 지급하는 인센티브가 아닌 ESG 활동과 투자에 비례해 사후적으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라고 덧붙였다.
기업의 ESG 활동 확대를 위해 규제가 아닌 인센티브를 제시하는 이유 또한 설명했다. 최 회장은 “탄소세 등 규제를 통해 ESG 활동 확대를 유도할 수 있지만 이는 기업의 경제 생태계에 있어서 인센티브 제도보다 효율성이 떨어진다”며 “궁극적으로 기업의 ESG 활동에 대한 인센티브를 디지털 화폐화해 블록체인 기술까지 가미한다면 새로운 경제 시장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