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총재는 이번 금통위 동결의 가장 큰 이유로 향후 경제 흐름의 불확실성을 들었다.
이 총재는 "코로나19 상황과 백신 접종이 경제 회복과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금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면서 "낙관적 시나리오의 대전제인 백신접종이 예상보다 빠른 상황에서는 경제 성장률이 더 높아질수도 있다"고 밝혔다.
그는 재난지원금 효과에 대해서는 이번 추경이 올해 성장률을 0.1~0.2%p 높이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GDP 플러스갭 달성 여부에 대해선 "회복세가 당초 생각했던 것보다 빠르고 코로나 진정으로 경제 활동이 정상화된다는 것을 전제할때 GDP갭 해소시기가 빨라질수 있다"고 말했다.
최근 가계빚에 대해서는 우려의 시각을 드러냈다.
이 총재는 "금리 인상이 되면 가계의 이자상환 부담이 커지는 것은 인정하나 가계 부채 증가세에 따른 부작용이 커서 이를 억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경기 상황에 맞춰 점진적으로 금리 정책을 조정해서 가계 재무건전성 부담을 최소화 나갈것"이라고 강조했다.
연내 금리 정상화 가능성에 대해서는 중립적인 시각을 유지했다.
이 총재는 "경기가 호전되고 있지만 불확실성도 봐야 하고 지연됐을 경우의 부작용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적절한 시점에 서두르지 않아야 하지만 늦어서도 안된다"고 밝혔다. 결국 코로나 19의 전개상황과 경제회복 속도와 강도이 가장 변수라고 언급했다.
이 총재는 또 "연준의 통화정책이 당연히 중요한 고려요인은 맞지만 거기에 매칭해서 운영하는 것은 아니다"며 한은의 독자행보를 강조했다.
통화완화 기조의 기간에 대해서 이 총재는 "경제 상황에 맞춰 서두르지는 않겠지만 실기하지는 않겠다"는 답변을 했다.
물가 상승에 관해서 이주열 총재는 상승세를 예상했다.
이 총재는 "일반인 기대인플레이션이 2% 초반에서 소폭 상승했다"면서 "5월 소비자 물가가 4월의 2.3% 보다 좀 더 높아질것으로 예상되고 하반기는 2% 내외, 내년에는 1% 중반 수준을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내년에는 공급측 영향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며 "근원 물가가 내년에도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다만 인플레이션의 추세는 구조적 변화로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덧붙였다.
이 총재는 CBDC 도입 시기에 대해 기술적 문제와 제도적, 법적 요인 등 있어 도입 시기를 구체적으로 확정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암화화자산 관련해 "레버리지를 통한 개인들의 암호자산 투자가 과도하게 늘어나면, 가격 안정성이 낮은 암호자산의 특성으로 가계 손실 위험이 커질 수 있다"며 "이에 그치지 않고 금융기관으로 리스크가 전이될 가능성이 있어 관련 기관과 면밀히 모니터링 하겠다"고 밝혔다.
한은법에 고용안정을 추가하는 것과 관련 이 총재는 "고용 안정 책무가 도입된다고 하더라도 물가와 금융안정 달성이 저해되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복수의 정책 목표 하에서 통화정책 일관성과 정책 수단에 관한 논의도 필요하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이 총재는 테이퍼링 논의에 대해 "한국의 경우에는 자산매입을 실시하고 있지 않아 테이퍼링 관련해서는 해당사항이 없다"면서도 "한은에서 코로나 관련 이례적인 조치를 한은에서 실시하며 순차적으로 종료해왔다"고 밝혔다. 현재 회사채 매입 기구를 운영하는데, 추가 연장 여부는 자영업자, 기업의 자금조달 여건을 점검하면서 판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국고채 단순 매입 관련해 "현재 시장에 한은 계획에 선반영되어 있어 시행하는 것이 타당하다"면서 "6월말까지는 잔여금액을 매입을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으로도 필요할때 시장 안정화 조치를 취하겠다는 말을 잊지 않았다.
통화안정증권에 대해선 "정부가 원리금 상환 의무가 없어 국가부채로 분류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강규석 기자 nomadk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