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미국 내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공장 증설을 위해 오스틴, 애리조나, 뉴욕 등을 후보지로 두고 인센티브를 논의 중이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 21일(현지시각) 문재인 대통령의 미국 방문 일정 중 하나인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 행사에 참여해 미국 신규 투자계획을 공식화했다.
당시 김기남닫기

삼성전자가 미국 내 170억달러를 투자하겠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해외 단일 기준 투자 규모 가운데 최대 수준이다. 그러나 투자 시기, 투자 지역과 관련된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아울러 문승욱 산업통상부 장관은 러몬도 미국 상무부 장관과의 면담에서 “미국 내 대규모 투자를 약속한 한국 기업을 위해 세제·인프라 등 인센티브를 지원해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 삼성전자 미국 텍사스 오스틴 반도체공장.
지난 2월에는 오스틴 시에 10년간 2만개의 일자리와 지역사회에 89억달러(약 10조원)의 경제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은 투자의향서와 함께 향후 20년간 8억 550만달러(약 9037억원)의 세금 감면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지난 2월 텍사스주 한파 영향에 따른 정전 및 물 부족 사태로 오스틴 공장이 6주간 가동을 중단해야 했다. 오스틴 공장 가동을 중단한 건 1998년 양산 이후 처음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오스틴 공장 가동으로 피해를 입은 웨이퍼는 총 7만1000장이며, 피해액은 3000~4000억원에 달한다”고 말했다.
오스틴 공장 가동 중단이 약 한 달간 이어지자, 삼성전자는 뉴욕주와 애리조나주 등 다른 지역들과 인센티브 협상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후보지에서는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공장을 유치하기 위한 러브콜을 지속적으로 보내고 있다.
뉴욕주는 최근 향후 5년간 미국의 반도체 칩 생산 및 연구개발(R&D) 확대를 위해 502억달러(약 56조원)의 긴급 자원 지원 등을 포함한 법안을 발표했다.
외신에 따르면, 척슈머 뉴욕주 상원의원(민주당)은 21일 성명을 통해 “삼성의 170억 달러 반도체 공장을 위해 뉴욕보다 더 나은 곳은 없다”며 “뉴욕의 신규 반도체 공장을 지원할 수 있도록 연방 인센티브를 확보하려고 싸우고 있다”고 했다.
다음 달 10일 예정된 애리조나주의 3차 공장 부지 경매도 주목할 만하다. 애리조나주는 이미 삼성전자에 1조원 규모의 세제 혜택을 제안한 바 있지만, 지난 2번의 경매가 모두 유찰되면서, 삼성전자가 관심을 두고 있지 않는다는 관측이 나온다.
일각에선 글로벌 경쟁사인 대만의 TSMC와 인텔이 반도체 공장을 설립할 것으로 전해지면서, 반도체 기업 간의 집적 효과도 클 것이란 의견도 있다. 주 정부가 대규모 인센티브를 지원한다면, 상황이 반전될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미국 내 반도체 투자 지역과 관련해 "아직 구체적으로 결정된 건 없다”고 말했다.
정은경 기자 ek7869@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