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대훈 연구원은 "이더리움이 연일 사상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으며, 이제 가상자산 전체 시가총액의 15%에 육박할 정도로 비중이 커졌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한 연구원은 "이더리움은 지금 일일이 열거하기 힘들 정도로 긍정적인 소식이 많이 전해진다"면서 "지난 4월에 진행된 베를린 하드포크를 성공적으로 마치면서 그 동안 문제점으로 지적받던 가스비(수수료)가 크게 절감됐으며, 이를 기반으로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더리움은 디지털 플랫폼"이라며 "수수료(가스비)와 처리속도가 느리다는 점은 단점이지만, 지난 4월의 하드포크 성공, 그리고 오는 7월에 예정된 런던 하드포크마저 성공한다면 문제점이 어느정도 해소되고, 이로 인해 이더리움의 생태계 확장은 한층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7월의 하드포크 때는 네트워크상 비용문제를 다룰 EIP-1599가 업데이트 될 것으로 보여 기대감이 높다고 풀이했다.
그는 "최근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NFT, 디파이(DeFi)는 모두 이더리움 기반"이라며 "디파이의 고객예치금은 이미 760억달러에 육박했다"고 지적했다.
크리스티와 소더비 등 주요 경매사에서 NFT를 채택한데 이어, 세계 최대 거래소 중 하나인 바이낸스가 NFT 시장을 6월에 개설할 것이라고 밝히는 등 이제는 디지털 플랫폼으로서 영역을 점차 확대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한 연구원은 "유럽투자은행(EIB)은 1억유로 규모의 채권을 이더리움을 통해 발행하겠다고 밝히는 등 금융권도 넥스트 비트코인으로서 이더리움에 대한 관심을 갖는 금융기관이 늘어나는 추세"라고 밝혔다.
플랫폼으로서의 기반에 걸림돌이 되던 수수료, 전송속도 등의 문제점들이 속속 해결되면서 영역이 더 확대되고 있어 이제는 이더리움을 주목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 연구원은 "이더리움은 올해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는 자산 중 하나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