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는 오늘부터 업계 최초로 점포에 상품을 공급하는 배송 차량에 전기차를 도입한다.
CU는 전국 1만 5000여 점포를 운영하고 있으며 점포당 하루 평균 3회 배송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국의 물류센터는 총 33개로 배송 차량은 2000여대 가량 운영되고 있다.
전기차는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 등 대기오염 물질을 배출하지 않으므로 전기차 1대 기준 내연기관차대비 연간 탄소 배출량을 2톤 가량 감축하는 효과가 있다. CU는 다수의 차량을 운영하고 있으므로 전기차 도입이큰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CU가 이번에 도입하는 전기차는 기아자동차 봉고EV 모델로 경기도 광주시에 위치한 BGF로지스광주에서 운영되는 배송 차량이다. 해당 차량은 서울 강남 지역의 중대형 점포들을 대상으로 상온 상품의 배송을 전담하게 된다.
BGF로지스광주는 본격적인 전기차 운영을 위해 물류센터 내에 전기차 충전 시설도 별도로 설치할 예정이다.
CU의 전기차 배송은 올해 하반기까지 시범 운영을 거쳐 물류 효율과 환경적 효익 등을 두루 검토해 향후 다른 물류센터로 확대 여부를 결정한다.
BGF리테일은 친환경 물류를 위한 정책을 꾸준히 지속하고 있다. 친환경 물류를 통해 경영 성과를 높일뿐만 아니라 정부의 친환경 정책에 적극 동참해 사회∙경제적 효익도 함께 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BGF리테일은 지난 2013년부터 모든 배송 차량에 차량관제 시스템, 에어스포일러 장착, 에너지 세이버 도색을 적용하고 물류 파트너사와 에코드라이브 교육, 화물차 연비왕 대회 등을 통해 에너지 효율화와 탄소 배출량 감소에기여하며 녹색물류기업 인증을 취득한 바 있다.
지난해에는 업계 최초로 충북 진천 중앙물류센터(CDC: Central Distribution Center)에 태양광 발전소를 준공하기도 했다. 대규모 발전 설비를 갖추고 전기를 생산해 수익을 창출한 첫 사례로 연간 최대 1200 메가와트시(MWh)의 전기를 생산하고 있다.
송재국 BGF리테일 SCM실장은 “모세혈관처럼 촘촘한 전국 CU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배송 차량에 전기차를 도입함으로써 친환경 물류 체계를 더욱 강화했다”며 “소비자와 직접 만나는 상품을 넘어 배송 과정에 이르기까지 진정성 있는 ESG 경영을 꾸준히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홍지인 기자 helen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