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성수닫기

은성수 위원장은 17일 오후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최근 쿠팡이 뉴욕 증시로 간 것은 국내에서 차등의결권이 허용되지 않기 때문이라는 말이 사실인가”라는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대해 “차등의결권 때문이 아닌 높은 가치를 받고 싶었던 것 같다”라고 대답했다.
최근 쿠팡이 미국 증시 상장을 선택하자, 차등의결권 때문에 우리 증시 대신 미국 증시를 택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국내 증시도 차등의결권을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은 위원장은 이에 대해 “우리나라도 적자기업이 일정규모 이상이면 상장할 수 있기 때문에 상장요건 때문은 아닌 것 같다”라며 “쿠팡의 기업가치가 55조원이라고 하는데, 그것을 국내 시장에 상장했을 때 받아줄 수 있는지 등을 생각해 규모가 더 큰 시장에서 기업공개(IPO)를 선택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쿠팡의 뉴욕 상장과 관련해 금융위가 반성이나 개선할 부분이 있는지 보고 있다”라며 “차등의결권이 문제인지, 상장 요건이 까다롭기 때문인지, 북밸류를 제대로 받고 싶어서 그런 것인지, 규모가 커서 그런 것인지 등 금융위 차원에서 노력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 살펴보겠다”라고 부연했다.
제2·3의 쿠팡이 등장해도 '한국거래소 패싱' 현상이 반복될 것이라는 김한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주장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그는 또한 “반대로 외국 기업이 국내에 상장하는 것도 22개나 있고, 외국 기업과 국내 기업 양쪽 모두를 유치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며 “유니콘 기업이 성장하고 국내 투자자들도 쉽게 투자할 수 있도록 차분하게 살펴보겠다”고 덧붙였다.
홍승빈 기자 hsbrob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