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는 17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2021년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했다.
방향에 따르면, 정부는 주식과 국채 등을 장기 보유한 투자자에게 세제지원을 줄 계획을 세웠다.
주식시장에 대해서는 오는 2023년 금융투자소득세 시행에 대비해 세제지원 등으로 장기투자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정부는 2023년부터 주식 등 금융투자 상품을 통해 벌어들인 소득과 손실을 합산해 5000만원이 넘는 금융투자소득에 대해 과세(세율 20~25%)할 예정인데, 단기 투자 유인이 될 수 있다는 진단이 제기돼 왔다.
아직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지 않았지만 '동학개미'로 불리는 개인투자자가 급증한 가운데 세제 인센티브가 나온 셈이다. 정부는 내년 중 제도개선 방안을 확정하기로 했다.
국채시장에서는 만기 보유시 금리·세제 인센티브가 있는 개인투자용 국채도 도입할 계획을 세웠다. 만기까지 보유시 가산금리를 지급하는 것으로, 예컨대 기본이자의 30% 식이다. 세제 혜택은 2021년 중 조세특례 예비타당성 평가결과에 따라 결정하기로 했다.
또 정부는 연기금 등의 국내주식 투자 범위 다변화도 추진하기로 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