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규상닫기

현재 최장 30~35년인 주택담보대출 상환 기간을 늘려 월 상환 부담을 줄이겠다는 것이다. 우선 시장 상황을 봐가며 시범 공급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금융위는 올해 말까지 적용하기로 했던 은행권 예대율(예수금 대비 대출금) 산정 시 개인사업자 대출에 대한 가중치 인하(100%→85%) 조치를 내년 상반기까지로 연장하기로 했다.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증가한 기업 및 가계부채 동향에 대해서도 예의주시하겠다고 했다. 도 부위원장은 “취약업종을 중심으로 기업자금조달 동향에 대한 세밀한 모니터링을 이어가는 한편 필요 시 정책적 대응방안에 대해서도 보다 적극 강구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내년 1분기 중 ‘가계부채 선진화 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난달 30일 금융위·금융감독원 합동 작업반을 구성했다.
도 부위원장은 “차주 단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로의 전환을 위한 로드맵, 생애소득주기 감안 및 적용 만기 합리화 등 실제 상환능력 반영을 위한 DSR 산정방식 선진화 방안 등을 중점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금융위는 코로나19로 인한 충격에도 금융권의 위기감내능력은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평가했다.
다만 규제 유연화, 만기연장・이자상환유예 등 여러 금융지원 조치로 인해 부실이 이연되고 있다는 우려도 있는 만큼 충분한 대손충당금 적립 및 자본확충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주요국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되면서 금융시장에서 위험추구성향이 확대되고 있는 데 대해서는 다양한 리스크 요인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경고했다.
도 부위원장은 “고수익·고위험 상품일수록 코로나19 재확산 등 외부변수에 따라 가격 변동성이 급격히 확대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금융시장의 리스크 요인에 대해 세밀하게 점검・모니터링하는 한편 불안정성 확대 시 적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