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재계에 따르면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은 최태원 회장에게 차기 회장직을 직접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를 기점으로 4대 그룹(삼성・현대차・SK・LG) 총수가 세대 교체된 가운데 최 회장이 맏형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5일 열린 이재용닫기


최 회장이 차기 대한상의 회장에 부임한다면 사실상 재계 대표로 활약하게 된다. 2017년 5월 출범한 문재인 정부의 재계 소통창구이기 때문이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전에는 전국경제인연합회가 그 역할을 담당했지만, 2016년 10월 드러난 ‘박근혜 정부 국정농단’으로 대한상의가 소통창구를 담당하고 있다.
최태원 회장과 함께 유력 인사로 부상한 인사는 구자열 LS그룹 회장이다. 구 회장은 LS그룹 초대 회장인 구자홍 회장에 이어 그룹 총수를 담당하고 있다. 재계에서는 구 회장의 그룹 총수 임기가 2~3년 정도 남은 것으로 전해지는 가운데 해당 기간 경제단체 회장을 맡을 기회가 오면 수락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구 회장이 전경련 위원단, 대통령 소속 국가재산지식위원장 등 경제계 활동에 관심이 많은 것도 해당 주장을 뒷받침한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