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DGB금융지주 3분기 실적보고서에 따르면, DGB캐피탈 3분기 순익은 283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6.9% 증가했다. 캠캐피탈 결손을 제외하면 300억원 가까이 순익을 냈다는 설명이다. 순익이 증가한건 서정동 대표 취임 이후 우량 자산 중심 기업금융, 건전성 개선, 포트폴리오 다각화, 자산성장 덕분이다.
DGB캐피탈 관계자는 "서정동 대표이사 취임 이후 우량자산 중심 기업금융이 늘어나면서 수익성이 개선됐다"라며 "자산 성장, 포트폴리오 다각화 노력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DGB캐피탈 올해 3분기 영업자산은 3조3200억원으로 기업금융 비중은 30.6%를 차지한다. 작년 3분기 영업자산 2조7800억원 대비 5400억원, 비중은 4.2%p 증가했다.
올해 분기별 대출 자산도 지속적으로 늘었다. 2019년 4분기에서 2020년 1분기 사이에는 469억원 가량 늘어난 반면 올해 1분기에서 2분기에는 1분기 3조780억원에서 2분기 3조2032억원으로 2000억원 가량이, 2분기에서 3분기에는 3조2032억원에서 3조3222억원으로 2000억원 가량 늘었다.
DGB캐피탈은 올해 신용대출 부분에서도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신용대출 자산도 작년 3분기 1962억원에서 올해 3분기 2689억원으로 7000억원 가량 증가했다. 자산이 증가하면서 비중도 7.1%에서 8.1%로 늘어났다. DGB캐피탈은 틈새 시장 발굴로 외국인 근로자 대출, 일반 신용대출 등을 취급하고 있다.
연체율도 하락추세가 지속되고 있다.
올해 3분기 연체율은 1.68%로 전년동기대비 0.62%p 감소했다. 2분기 대비해서는 0.12%p 감소했다. 코로나19 정책에 따른 채무유예가 있었지만 채무유예가 된 채권에서 부실이나 추가 연체가 발생하지 않아 건전성 관리가 원활히 이뤄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DGB캐피탈 관계자는 "채무유예 종료된 건에 대해 모니터링을 진행했는데 추가 연체나 부실 등이 없었다"라며 "신용대출 관련한 연체율도 관리가 잘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전하경 기자 ceciplus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