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행연합회가 본격적인 차기 회장 선임 절차에 돌입했다. 은행연 회장추천위원회는 내달 중 2~3차례 회의를 열고 후보군 좁히기에 나선다.
은행연은 26일 오후 서울 마포 프론트원에서 정기 이사회를 열고 차기 회장 선임을 위한 회추위 세부 일정과 구체적인 절차 등을 논의했다.
은행연 이사회는 김태영닫기

최근 우리은행과 국민은행 임원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는 등 은행권에서 감염 사례가 잇따르면서 권광석닫기



차기 씨티은행장으로 내정된 유명순닫기

회추위는 내달 중 2~3차례 회의를 열어 차기 회장 후보군을 좁히는 작업을 진행한다. 회추위가 최종 후보자를 뽑아 22개 정회원사가 참여하는 회원총회에 올리면 총회 투표를 거쳐 차기 회장이 확정된다.
김태영 현 은행연합회장 임기는 오는 11월 말까지다. 그간 은행연합회장은 관(官) 출신이 주를 이뤘다. 역대 회장 12명 가운데 민간 출신은 4명뿐이었다.
이번에도 차기 회장으로 관료 출신과 정치권 인사 등이 하마평에 오르내리고 있다. 업계 안팎에서는 차기 회장 후보로 최종구닫기

이날 이사회 후 이어진 윤석헌닫기

윤 원장은 코로나19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은행권이 자금중개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 향후 부실확대 가능성에 대비해 대손충당금을 충분히 적립하는 등 손실흡수능력을 확고히 유지하면서 신성장 산업에 대한 자금이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힘써 달라고 당부했다.
윤 원장은 또 최근 정부가 ‘한국판 뉴딜’의 한 축으로 추진 중인 그린뉴딜에 발맞춰 은행권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금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기후 리스크에 대해 선제적으로 관리하는 등 대응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일련의 사모펀드 사태 등으로 인한 은행권 신뢰 저하 문제도 지적했다. 윤 원장은 “은행권의 펀드 불완전판매 등으로 실추된 신뢰를 조속히 회복할 필요가 있다”며 “불완전판매 등으로 초래된 금융소비자 피해를 적극 구제하는 한편 앞으로는 최근과 같은 사모펀드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은행의 펀드 판매관행을 개선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윤 원장은 최근 금융의 디지털화, 비대면거래 확산 등으로 점포축소가 확대되고 있다며 이 과정에서 고령층 등 디지털 취약계층의 불편이 초래되지 않도록 노력해줄 것을 은행장들에 주문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