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김두관의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의하면, 인터넷전문은행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2018년 0.05%에서 올해 2분기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올해는 1분기 0.36%에서 2분기 0.43%로 대폭 상승해 2018년 3분기에 이어 가장 높은 상승폭을 보였다.
일반은행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2018년 0.70%에서 올해 2분기 0.43%로 계속 낮아지는 추세이다.
은행은 이자를 받지 못하고 있는 기간이 3개월째인 대출을 요주의, 3개월 이상인 대출을 고정, 6개월 이상인 대출을 회수의문, 회수할 수 없는 대출을 추정손실로 분류한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대출을 의미한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이 높아지면 은행의 부실자산이 늘어난 것이다.
인터넷전문은행의 당기순이익은 계속 적자를 기록하다가 올해 2분기에 59억원 흑자로 진입했다. 총자산이익율(ROA)도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벗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김두관 의원은 “인터넷전문은행 대출이 주로 가계신용대출이라는 사실을 감안할 때 고정이하여신비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것은 금융불안 요소가 될 수 있다”고 지적하며 “작년 일반은행의 가계대출 고정이하여신비율 0.27%였던 것과 비교, 인터넷 전문은행의 채권이 상대적으로 부실한 것에 대해 금융당국이 보다 면밀하게 리스크 관리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홍지인 기자 helen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