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 분야는 매년 상·하반기에 각각 기초과학, 소재, ICT 분야에서 선정한다. 올 하반기는 기초과학 15개, 소재 7개, ICT 9개 등 총 31개 과제로 연구비 약 396억3000만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기초과학분야에서는 서울대 생명과학부 최명환 교수 연구팀이 '사람이 어떻게 맛을 느끼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현재 미각에 대한 정보 처리는 모두 뇌에서 이뤄진다고 알려졌으나, 최 교수는 혀에서 가능하다는 새로운 이론을 제시했다.
포스텍 화학과 서종철 교수는 현재 미답의 영역인 나노미터 크기의 용액 방울 안에서 일어나는 분자의 움직임을 직접 관찰하기로 했다.
소재·ITC 분야는 세포치료법, 보행 로봇, 차세대 망막 질환 진단 장비 등 의학·헬스케어 분야에서 주로 선정됐다. 또 전고체 배터리, 반도체 등 삼성과 한국 산업의 주력 분야에 대한 연구도 지원한다.
삼성 서초사옥.
다음은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2020년 하반기 연구 지원 과제 목록이다.
기초과학 (15개)
△공생균에 의한 腸신경계 발생과 기능 조절의 이해(김재상, 이화여대)
△생체 근접 표지를 이용한 인핸서 시공간의 재해석(노재석, 연세대)
△회전도가 0이 아닌 부드러운 천음속 흐름과 천음속 충격파 연구(배명진, 포스텍)
△XFEL을 이용한 나노크기 용매방울 내 특이적 분자거동 연구(서종철,포스텍)
△평평한 에너지띠 시스템의 양자 기하학적 성질 연구(양범정, 서울대)
△작용소대수 이론의 양자정보론에의 응용(윤상균, 서울대)
△알켄의 이중 알킬화 비대칭 반응(윤재숙, 성균관대)
△유성생식의 기원과 분화 기작(윤환수, 성균관대)
△초안정 유기 라디칼의 합성과 생체내 응용(이은성, 포스텍)
△양자이동을 위한 펩토이드기반 엑시플렉스 시스템(이호재, GIST)
△다출처 자료인자모형의 일반화와 통계이론(정성규, 서울대)
△비압축성 유체의 난류 현상에 대한 수학적 해석(정인지, KIAS)
△혀에서 이루어지는 지능적 맛 정보 처리(최명환, 서울대)
소재 (7개)
△양자점의 생로병사 비밀규명을 통한 고효율∙고안정성 양자점 소재∙소자 개발(양지웅, DGIST)
△치료 항체 성능의 획기적 개선 단백질 모듈(오병하, KAIST)
△Operando 투과전자현미경 분석을 이용한 2차원 반데르발스 계면에서 발현되는 새로운 강유전 특성 연구(유효빈, 서강대)
△신개념 Watt급 파워지수 포논-칼코지나이드 전자-전도체 기반 열전물질 구현(이상권, 중앙대)
△신개념 Chromatin epi-glue 기술을 이용한 세포치료법(이지민, 강원대)
△전고체전지 실시간 변형률-응력-화학조성 결맞는 이미징 'PICASSO' 기법 개발(임종우, 서울대)
△위상 소재 및 교환결합을 이용한 신개념 매그논 밸브 개발(진현규, 포스텍)
ICT (9개)
△DRAM 기반의 인 메모리 연산을 위한 시스템소프트웨어 연구(김선욱, 고려대)
△XBox: 프로세싱인플래시 기반의 가속용 저장장치시스템(김지홍, 서울대)
△소셜 로봇을 위한 공유 가능한 작업 지식 학습 프레임워크 개발(오윤선, KIST)
△난류 비모사 예측 인공지능기술의 정확도 향상과 실용성 증대 연구(유동현, 포스텍)
△2.5차원 무질서 메타 구조 기반의 스냅샷 초분광 센서 기술(장무석, KAIST)
△다차원 공간전력합성 기법을 적용한 고출력 테라헤르츠 송수신 모듈 개발(전상근, 고려대)
△생체 망막 세포와 복굴절 특성의 대면적 고해상도 영상을 위한 반사형 산술 편광 현미경 기술 개발(주철민, 연세대)
△조합 최적화 문제를 위한 온 칩 공학 아이징 머신(한상윤, DGIST)
△강화학습을 이용한 통합된 보행 로봇 제어와 경로 탐색 체계 개발(황보제민, KAIST)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