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일 서울 송파구 스테이지파이브 본사에서 진행된 AI 반려로봇 공동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식에서 (왼쪽부터) 이혜영 아쇼카 한국 대표, 김채희 KT AI/BigData사업본부장 상무, Leo Guo 누와 로보틱스 대표, 서상원, 이제욱 스테이지파이브 공동대표가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사진=KT
이미지 확대보기이날 협약식에는 김채희 KT AI/BigData사업본부장 상무, 서상원, 이제욱 스테이지파이브 공동대표, 이혜영 아쇼카 한국 대표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으며 Leo Guo 누와 로보틱스 대표는 화상 연결을 통해 참석했다.
이번 협약으로 4개사는 인공지능(AI), 통신, 로봇, 콘텐츠, 사회적 가치 실현 등 보유한 기술력과 역량을 합쳐 어린이와 시니어를 위한 차세대 AI 반려로봇 개발 및 사업화를 위해 협력한다.
스테이지파이브는 카카오의 통신·사물인터넷(IoT) 전문 계열사로 AI 반려로봇의 연령별 특화 콘텐츠 등을 담당한다. 누와 로보틱스는 로봇 관절 등 하드웨어와 로봇 소프트웨어 자체 기술을 보유한 글로벌 소셜 로봇 전문 기업이다.
아쇼카 한국은 미국에 본사를 둔 글로벌 비영리단체(NGO) 아쇼카의 한국지부로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해 사회혁신기업가를 발굴하고 지원하고 있다. KT는 아쇼카 한국의 참여로, AI 반려로봇 내 적용될 콘텐츠에 사회적 가치가 더해질 것으로 기대했다.
4개사는 내년 상반기 AI 반려로봇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AI 반려로봇은 팔 관절 움직임과 머리 끄덕임, 기가지니 AI 기반 인터랙티브(상호작용) 콘텐츠 등을 중심으로 어린이와 시니어 고객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를 선보이게 된다.
키즈 콘텐츠는 일반적인 학습·놀이 중심보다는 아이들의 신체 활동량을 높일 수 있는 활동들이 제공될 예정이다. 시니어 콘텐츠는 치매 관리, 말벗, 복약지도 외에도 활동적인 노년층을 위한 활동형 콘텐츠가 탑재될 전망이다. 조작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는 시니어를 위해 음성명령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김채희 KT AI/BigData사업본부장 상무는 “KT는 고령화 및 언택트 시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국민기업으로의 책임을 다하겠다”며, “앞으로도 KT는 따뜻한 AI 기술을 통해 노인 및 어린이 등 사회적 손길이 필요한 분들에게 보탬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정은경 기자 ek7869@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