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의 2020년 6월말 기준 NPL 커버리지비율은 120.86%를 기록했다. 이는 전분기(95.15%) 대비 25.71%P(포인트)나 뛴 수치다.
추세를 봐도 올해 1분기까지 기준선으로 여겨지는 100%를 하회했던 하나은행 NPL 커버리지비율은 단숨에 120%대로 올라섰다.
NPL 커버리지비율은 고정이하여신 대비 충당금 설정액을 말한다. 잠재적인 부실채권에 대처할 수 있는 버퍼로 손실 흡수 능력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하나은행은 그동안 다른 주요 시중은행 대비 NPL 커버리지비율이 낮게 평가됐다. 올해 2분기 NPL커버리지비율 개선폭이 유독 컸던 데는 코로나19 등에 따라 충당금 규모를 대거 키운 영향이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하나은행의 올 6월말 대손충당금 잔액은 1조1080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19.8% 늘었다. 반면 고정이하여신은 같은 기간 9830억원에 9170억원으로 -6.7%를 기록했다. 고정이하 여신비율도 올 6월말 0.35%로 전년 말 대비 0.04%포인트 줄었다.
이로써 다른 주요 시중은행과 NPL 커버리지비율 격차를 좁히게 됐다. 금융권에 따르면, 2020년 6월말 기준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의 NPL커버리지비율은 각각 134.5%, 126%다.
전배승 이베스트증권 애널리스트는 "하나금융의 경우 개별법 추가 충당 규모가 컸고 고정이하 여신 대비 충당금 적립률이 크게 상승했다"며 "은행 간 건전성에서 차별성이 축소됐다"고 분석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