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LG에 따르면 이날 오전 정 수석부회장을 비롯한 현대차그룹 경영진은 LG화학 오창공장 배터리 생산라인과 선행 개발 현장을 찾았다.
현대차그룹에서는 정 부회장을 비롯해 현대기아차 알버트 비어만 연구개발본부장(사장), 김걸 기획조정실 사장, 현대모비스 박정국 사장 등이 방문했다. LG그룹은 구 회장과 LG 권영수닫기



LG는 "현대차그룹 경영진은 LG화학이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장수명 배터리, 리튬황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등 미래 배터리의 기술 개발 방향성을 공유했다"고 밝혔다.
양사 경영진은 미래 배터리 기술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고 협력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정 부회장은 지난달 이재용닫기


업계에서는 이번 회동이 현대차가 내년부터 양산할 차세대 전기차 전용 플랫폼(E-GMP) 신차에 공급할 배터리 수주를 위한 배터리 3사의 '구애' 성격이 있다고 보고 있다. 회사측이 밝히고 있는 '미래 기술 점검' 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사업 논의가 오갔을 것이라는 말이다. 현재 4단계로 나눠 진행되고 있는 E-GMP 수주전에는 SK이노베이션이 1차 물량을, LG화학이 2차 물량을 따냈다.
리튬황·전고체 배터리는 현재 리튬이온 배터리를 뛰어 넘을 '게임 체인저'로 평가받는다. 특히 배터리 양극재를 고체의 황화물로 대체한 리튬황 배터리가 기술 수준에서 앞서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리튬황은 리튬이온 대비 에너지 용량이 5배 이상 높다. 리튬이온에서 자주 문제가 되는 배터리 화재 등 안정성 측면에서도 강하다. 다만 기술 난이도나 양산 비용 등으로 아직 상용화한 사례는 없다. 일본 완성차 토요타가 2022년 리튬황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를 출시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럼에도 2030년대 이후에야 이같은 차세대 배터리가 유의미한 점유율을 보일 것으로 업계는 전망한다.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