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중형세단 라이벌' 현대차 아반떼가 7세대 풀체인지를 통해 첨단사양으로 무장한 만큼, K3는 신형 출시 전까지 저가 모델에서 판매량 방어에 나서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2021년형 K3는 스탠다드, 프레스티지, 시그니처 등 3가지 트림으로 간소화했다. 스탠다드와 프레스티지 사이에 있던 럭셔리 트림을 빼고 스탠다드 트림에 대한 상품성을 강화했다.
우선 인조가족시트, 앞좌석 히티드 시트 등 기존 럭셔리 트림에 장착된 사양을 스탠다드에 기본화했다. 또 버튼시동 스마트키, 스마트 트렁크 등 기존 프레시트지 옵션도 최하위 트림에 기본 탑재된다.
최근 현대차그룹 정책에 따라 선택옵션도 하위트림에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구분을 없앴다. 이에 따라 파워시트, 전동식 허리지지대, 무선충전 시스템, 뒷좌석 히티드 시트와 높이조절 헤드레스트 등도 최하위트림에서 선택할 수 있게 됐다.
1.6 가솔린 터보 모델인 K3 GT는 수동변속기 모델을 단종시키고 트림별 옵션 구분을 없앴다.
2021년형 K3 가격은 개소세 1.5% 한시인하 적용 기준 1714~2087만원이다. K3 GT는 2187~2451만원이다. 기존 K3 보다는 150만원 가량 올랐고, 7세대 아반떼 대비 약 50만원 저렴하다.
기아차 관계자는 "2021년형 K3는 강화된 주행 편의와 우수한 가격 경쟁력으로 준중형 세단 고객에게 더 큰 만족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올해 1~3월 K3 월 평균 판매량은 2100여대로, 전년동기대비(3800대) 45% 하락했다. 같은기간 현대 아반떼 판매량은 3000여대 수준이다. 이달 출시된 7세대 아반떼가 사전계약 흥행을 기록하는 등 판매 격차는 더욱 벌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에 맞서 기아차는 3세대 플랫폼 등을 적용한 K3 페이스리프트 연내 출시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