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Ghz 대역 기지국 구축 작업이 지연되고 있는 가운데 KT의 5G 가입자 점유율은 30.4%에 그치고 있기 때문이다. SK텔레콤이 44.7%를 차지하며 14.3%포인트나 앞서고 있는데다 3위 LG유플러스와는 5.5%포인트 차이로 쫓기고 있다는 것이다.
그나마 1분기 잠정 실적이 매출 6조236억원, 영업이익 3730억원으로 전망된 것이 위안삼을 만한 소식이다.
26일 대신증권은 KT가 지난해 3분기 실적 턴어라운드 이후 상승폭을 확대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통신이 코로나 사태의 상대적 수혜 산업인 이유는 ▲대면 접촉 감소에 따른 온라인 활동 증가로 데이터 소비 및 VOD 수요 증가 ▲하루에 수십 건씩 날라오는 안내 문자도 통신사의 수익이기 때문이다.
가입자 당 수익(ARPU)은 2017년 9월부터 시행된 선약할인률 상향에 따른 감소 요인이 없어지고, 데이터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2019년 4분기부터 전년 동기 대비 반등했다.
김 애널리스트는 "코로나로 마케팅이 위축되면서 5G 유입 규모 감소로 ARPU 상승 속도가 둔화될 수는 있지만, 상승 추세는 지속될 것이라 본다"고 밝혔다. 또한 "1~2개 분기 정도는 마케팅비용 감소에 따른 비용절감 효과가 ARPU 둔화보다 조금 더 크게 작용할 것"이라 전망했다.
구현모닫기

조은비 기자 goodra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