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예상보다 빠르고 큰 폭의 금리인하가 단행되면서 자회사 별 리스크 모니터링과 함께, 향후 기존 사업계획도 상황에 따라 수정할 수 있다는 카드도 염두하고 있는 모습이다.

신한금융지주 본점 / 사진= 신한금융지주
앞서 신한금융은 올해 사업계획을 짤 때 지주 역사상 처음으로 '정상', '악화', '최악'의 상황을 가정한 시나리오별 사업계획을 수립했다.
코로나19 사태라는 돌발 변수가 나오고 기준금리 '빅컷'도 단행되면서 현재 '정상' 상황을 가정으로 한 사업계획에서 2분기에 필요시 '악화' 상황에 맞는 사업계획으로 전환 가능성도 염두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신한금융지주 측은 "기준금리 인하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면 순익 목표치를 줄이는 방안도 검토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시했다.

우리금융그룹 본점 / 사진= 우리금융지주
급변하는 금융시장의 주요 지표들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향후 극단적 위기상황까지 대응할 수 있도록 시나리오 점검, 경영목표 조정·관리 역할을 맡았다. 비상경영대책위원회에서 '(가칭)블루팀'은 혁신적인 사고로 무장한 그룹사 젊은 실무직원들로 구성했다.
우리금융지주 측은 "위원회 산하에 전략총괄팀, 재무관리팀, 리스크관리팀, 마켓센싱팀 등을 두고, 블루팀은 코로나19 사태 극복 이후 위기를 기회로 전환할 성장 방안을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그룹들은 당분간 이처럼 비상 경영 체제로 금융시장 상황 변화에 면밀히 대응하고 사업 별 속도 조절에 돌입할 방침이다. 다만 경영전략이나 재무목표는 중장기를 바탕으로 짜인 만큼 수정이나 변경은 시간을 두고 여러가지 시각에서 검토될 것으로 관측된다.
한 금융그룹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로 국내뿐만 아니라 전세계 경제가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돼 이런 상황에서는 금융회사들은 수익성 악화 뿐만 아니라 경기악화로 인한 여신 등 건전성 부분에서 급격한 위기가 올 수 있기 때문에 그쪽에 포커스를 맞추고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울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