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위원회는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손병두 부위원장 주재로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열어 지난 2월 7일 발표한 '코로나19 관련 금융부문 대응방안'에 대한 금융업권 이행현황을 점검했다. 손병두 금융위 부위원장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 사진= 금융위원회(2020.02.13)
이미지 확대보기금융위원회는 13일 손병두닫기

이날 회의에는 중소기업벤처부, 금융감독원, 그리고 산업은행, 기업은행, 수출입은행, 신용보증기금 등 다수의 유관기관이 참석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지난 2월 7일부터 11일까지 3영업일 동안 금감원과 기은, 신보 등 정책금융기관에서 진행된 피해기업 대상 상담은 약 6000건에 달했다. 신규 대출과 보증에 대한 문의가 대부분이었다.
업종 별로는 숙박, 여행, 음식점, 도․소매(의류), 레져, 키즈카페, 학원, 세탁소, 헬스, 피부관리실 등 고객과 접점이 많은 소상공인․자영업자 영위업종이 많았다.
기타 중국에서 물건을 수입하거나 유통하는 제조업(전자·자동차 부품), 창고업 및 운수업 등에 대한 문의도 있었다.
지원 실적을 보면, 지난 7일 대응방안 발표 이후 정책금융에서 코로나19 관련 피해기업에 총 201억원(96건)의 지원이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코로나 피해기업에 신규대출 18억원(10건)의 자금이 공급됐고, 만기연장 25억원(9건)도 지원됐다.
보증비율·보증료가 우대되는 신규보증으로 36억원(17건)이 지원됐고, 피해기업 및 피해우려기업에 대한 기존 보증의 만기연장도 약 118억원(56건) 이루어졌다.
수출금융으로 총 4억원 규모의 4건의 신용장에 대해 은행이 만기를 연장하기도 했다.
민간에서도 동참했다.
시중은행은 코로나19로 인한 23개 피해업체에 대해 신규대출, 만기연장 등 약 106억원이 지원됐다.
카드사는 영세가맹점에 대해 금리·연체료 할인 등의 혜택이 약 25억원(289건), 무이자 할부 및 결제대금 청구유예 등으로 1억7000만원(47건)이 지원됐다.
금융당국은 금융권의 이행 현황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필요한 기업에 자금 지원이 신속·원활히 이뤄지도록 하기로 했다. 금융위 측은 "코로나19의 진행경과 및 기업의 자금수요 등을 면밀하게 파악해 필요시 추가적인 자금지원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