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문규 수은 행장은 20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업무달성, 적합성, 기여도, 전문성 등 기준에 입각해 사외이사 선정이 이뤄졌다"고 말했다.
앞서 이달 초 기획재정부는 유복환 전 세계은행(WB) 한국이사와 정다미 명지대 교수를 수은 사외이사로 임명했다. 수은이 제청한 4명 후보 중 2명으로 모두 사측 추천 인사다.
노조 추천 인사가 사외이사 후보에 포함돼 수은이 국책은행 처음으로 '노조추천이사제'가 도입될 지 관심이 쏠렸지만 불발됐다.
방문규 행장은 이번 사외이사 선정 과정에서 여성 금융전문가를 포함하는 게 좋겠다는 내부 판단이 있었다고 시사했다. 방문규 행장은 "자본시장법이 개정되면서 일정 규모 이상되는 기업의 사외이사는 여성 이사를 1명 이상 두는 것이 의무화됐다"며 "유예가 있지만 정책 변경이 공공기관 관리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판단이 있었다"고 말했다.
아울러 감사원에서 외화표시채권 발행 주간사 선정 문제가 제기된 것에 대해 방문규 행장은 "경찰에서 관련 수사가 진행 중이기 때문에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방문규 행장은 "리스크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채권 발행 때 1억 달러를 초과하면 리스크관리본부장 책임을 통할해 견제 기능을 강화했다"며 "기존 준법업무팀의 인력을 두 배로 확대해 윤리준법실로 개편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감사원은 지난해 7월 보고서에서 "수은이 최근 5년간(2014∼2018년) 17회에 걸쳐 주간사를 선정해 외화표시채권을 공모발행하고 수수료를 지급하면서, 주간사를 미리 내정한 후 평가도 하지 않고 내정한 증권사를 포함해 주간사를 선정했다"고 지적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