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펀드 판매사들의 투자자 보호, 펀드 성과 수준, 영업점 모니터링 등을 종합해 평가한 결과 라임자산운용의 사모펀드 부실 의혹에 연루돼 고소당한 회사들이 하위권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한국금융투자자보호재단에 따르면 지난해 실시한 ‘제13차 펀드 판매회사 평가’에서 우리은행은 최하위인 28위, 신한금융투자는 하위권인 23위를 각각 기록했다.
종합 평가의 67.5%를 차지하는 영업정 모니터링에서 우리은행과 신한금투는 모두 21위 이하 회사에 부여되는 C 등급을 받았다. 우리은행은 2018년 종합 평가에서 28개사 가운데 24위였다가 지난해 순위가 더 떨어졌다. 신한금투도 14위에서 23위로 하락했다. 다만 개별 평가 부문의 순위는 공개되지 않았다.
금융투자자보호재단의 영업점 모니터링은 일반 투자자로 가장한 모니터 요원을 펀드 판매사 영업점에 파견해 상담 실태를 점검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총 450차례 감찰이 이뤄졌으며, 회사 1곳당 평균 16차례 진행됐다.
금융투자자보호재단의 펀드 판매사 평가는 미스터리 쇼핑을 통한 펀드 상담 평가(영업점 모니터링)가 67.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판매 펀드의 수익률 등 특성이 30%, 사후관리 서비스가 2.5%를 차지한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펀드 상담의 투자자 보호 수준은 2018년 대비 악화됐다. 지난해 펀드 상담 평가의 전체 판매사 평균 점수는 58.1점으로, 전년도(67.9점)보다 떨어졌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판매회사별 판매펀드는 시장 초과수익률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펀드 수익률에서 운용 목표인 비교지수 수익률을 뺀 ‘비교지수 초과 수익률’은 전체 판매사 평균이 연 0.07%에 불과해 초과 수익률도 거의 달성하지 못했다.
한편 종합 점수가 가장 높은 회사는 한화투자증권이었다. 그 외 한국투자증권, 메리츠종금증권, 삼성증권, NH투자증권 등이 뒤를 이었다.
홍승빈 기자 hsbrob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