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영상 SK텔레콤 MNO 사업부장(오른쪽)과 다니엘 키르헤르트 바이톤 CEO(왼쪽). /사진=SK텔레콤
양사는 한국 출시 전기차를 대상으로 차량 내부 통합 IVI(Integrated In-Vehicle Infotainment)의 개발과 적용, 마케팅 분야 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협력이 진행될 계획이다.
바이톤은 BMW, 닛산 등 글로벌 자동차 업체 출신 핵심인력들이 2017년 홍콩에 설립한 전기차 업체다. 기존 전기차의 성능과 기능을 뛰어넘는 품질을 선보이며 차세대 전기차 업체로 주목 받고 있다.
지난 9월 SUV 엠바이트(M-Byte) 차량 생산을 위해 국내 자동차 부품 업체인 명신과 위탁 생산 계약을 맺고, 한국시장 진출을 위한 본격적인 준비에 나선 바 있다.
■ 차세대 IVI 개발 협업…자동차의 ‘스마트 디바이스화’ 기반 마련
SK텔레콤과 바이톤은 한국 소비자들을 위한 차세대 IVI의 발굴부터 개발, 차량 적용까지 디지털 서비스 전반에 걸친 협력에 나선다. IVI는 차량 탑승자를 위한 주행정보와 즐길 거리를 통칭한다.
IVI는 자율주행차 시대를 앞두고 ‘차 안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글로벌 대표 ICT 기업들이 앞다투어 관련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글로벌 커넥티드카 시장은 올해 1200억 달러(약 135조원), 국내 시장은 2조 6000억원 수준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SK텔레콤은 ‘통합 IVI’ 서비스가 바이톤의 48인치 초대형 곡선형 터치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디지털 활용 환경과 만나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SK텔레콤은 이번 CES에서 모바일 내비게이션 서비스인 ‘T맵’과 음원 서비스인 ‘플로(FLO)’ 및 각종 동영상 등을 차량 기본 탑재 형태로 제공하는 ‘통합 IVI’ 시스템을 선보이며 관련 분야에 대한 기술력을 입증했다.

△ SK텔레콤-바이톤 한국형 차세대 전기차 출시 전방위 협력_인포그래픽. /사진=SK텔레콤
향후 SK텔레콤의 5G를 차량에 적용해 차량 내에서 초고화질의 대용량 미디어 서비스를 끊김없이 스트리밍으로 즐기고, HD맵 실시간 업데이트 등 각종 기술이나 서비스를 빠르게 적용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유영상닫기

다니엘 키르헤르트 바이톤 CEO는 “풍부한 ICT와 데이터 서비스 분야 역량을 갖춘 SK텔레콤은 모빌리티 시대에 걸맞은 스마트카 제작이라는 바이톤의 목표와 완벽하게 어울리는 회사다”고 설명했다.
이어 “소비자들의 다양한 인카(In-Car) 디지털 체험을 위해 SK텔레콤과 관련 서비스 개발에 힘을 모으겠다”고 말했다.
김경찬 기자 kkc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