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헌 금감원장은 23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에서 진행한 송년 오찬간담회에서 조직개편 방향성을 묻는 질문에 이같이 밝혔다.
윤석헌 금감원장은 조직개편 방향성과 관련해 금융소비자보호법 통과가 가까워진 만큼 이 부분에 가장 역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윤석헌 원장은 "금융소비자보호법이 머지 않아 국회 통과를 앞두고 있다고 전제하고 있다면 아무래도 소비자 보호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뤄야한다"라며 "조직개편에서 가장 역점을 두고 있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윤 원장은 자본시장 리스크 상시 감시와 보험·연금부분 강화도 조직개편 방향이라고 꼽았다.
윤석헌 원장은 "최근 DLF 사태에서 보여지듯 자본시장 여러가지 리스크들이 커지고 있어 자본시장 상시감시 내지 시장대응 능력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라며 "고령화 사회로 가면서 보험, 연금쪽 기능도 강화하는게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보강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커지고 있는 자본시장 리스크가 어떤 것이냐는 질문에 권역에 걸쳐서, 경계가 없어지고 발생하는 위험이라고 설명했다.
윤석헌 원장은 "이번 DLF 사태에서도 언급된 문제인데 위험이 권역에 걸쳐서 발생하는게 문제가 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은행에서 파생상품 복잡한 금융상품을 팔면서 소비자에게 피해를 끼치는 부분도 권역을 걸쳐서 일어난 일"이라고 설명했다.
윤 원장은 권역에 걸치는 리스크를 예방하기 위해 기능별 감독 중심 조직개편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윤석헌 원장은 "핀테크도 이제 융합형으로 나타나면서 이런데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라며 "한국이 전업주의가 굉장히 심한테 기능별 감독하고 엮여있다. 어렵지만 조직개편도 그렇고 리스크를 보는 시각부터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전하경 기자 ceciplus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