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18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오픈뱅킹 서비스 출범식에 참석했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왼쪽에서 네 번째)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오픈뱅킹 서비스 본격실시를 선포하는 버튼을 누르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윤면식 한국은행 부총재, 김영기 금융보안원장, 류영준 카카오페이 대표, 은성수 금융위원장, 김태영 은행연합회장, 김학수 금융결제원장, 권인원 금융감독원 부원장 / 사진= 금융위원회(2019.12.18)
이미지 확대보기
은성수 위원장은 이날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오픈뱅킹 전면 시행 출범식 축사에서 앱 하나만 있으면 모든 은행 계좌 조회와 이체를 넘나드는 오픈뱅킹 시대의 의미를 이같이 말했다.
지난 10월 30일 10개 은행에서 시범 실시한 오픈뱅킹은 이날(12월 18일) 전면 시행에 돌입했다. 16개 은행, 31개 핀테크기업 등 47개 기관이 참여하고, 이후에도 핀테크기업이 순차적으로 참여할 예정이다.
금융위에 따르면, 10월 30일부터 12월 17일까지 오픈뱅킹에는 315만명이 가입하고 773만 계좌를 등록했다.
최근 지급결제는 대변동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고 변화의 중심을 관통하는 흐름은 개방이라고 꼽았다. 지급결제 분야의 혁신은 데이터 개방과도 맞물리면서 오픈뱅킹을 통해 구현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은성수 위원장은 "은행은 플랫폼으로서의 뱅킹(BaaP)으로 전환을 가속화할 것"이라며 "이제는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금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플랫폼 금융의 중심축이 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핀테크 기업에 대해서도 은성수 위원장은 "개별 은행과 제휴 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결제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며 "결제망과 고객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져 공정한 경쟁의 장이 열림을 의미한다"고 했다.
이어 은성수 위원장은 "소비자들은 하나의 앱에서 은행과 핀테크 기업의 금융서비스 전체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며 "앞으로 오픈뱅킹 참가기관이 확대되면 편리성과 선택권은 더욱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픈뱅킹을 넘어 오픈 파이낸스를 제시하기도 했다.
은성수 위원장은 "오픈뱅킹 참여기관을 저축은행, 상호금융, 우체국 등 제2금융권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할 것"이라며 "잔액조회, 자금이체 외에도 대출조회 등 다양한 수요를 반영하고 제도와 인프라도 정비하겠다"고 말했다. 또 오픈뱅킹의 법적 근거를 전자금융거래법에 반영키로 했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18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오픈뱅킹 서비스 출범식에 참석했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앞줄 왼쪽에서 여곱 번째)을 비롯한 기념식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 사진= 금융위원회(2019.12.18)
이미지 확대보기아울러 은성수 위원장은 "철저한 보안점검, 일간 출금한도 제한, 금융사고에 대비한 보험가입 등 오픈뱅킹의 안정성 강화방안을 이미 마련했다"며 "소비자의 신뢰는 철저한 안전과 보안이 전제되어야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결제망 개방과 이용료 인하에 합의한 은행들도 이날 출범식에 참석했다. 은성수 위원장은 은행장들에게 "금융혁신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의 흐름"이라며 "경쟁이 혁신의 피로감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세심한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