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은행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가속화 일환으로 39개 업무에 로봇 120대 규모 RPA를 도입하는 고도화 사업을 완료했다고 11일 밝혔다.
작년 농협은행은 개인여신 자동기한연기, 휴폐업 정보조회 등의 업무에 은행권 최대 규모의 RPA를 도입한 바 있다. 이번에는 로봇PC 가상화 시스템을 도입하고 로봇 운영을 총괄하는 ‘RPA 컨트롤룸’을 확대 구축해 로봇PC 운영의 대규모 확장성과 안정성을 확보했다.
RPA 적용 업무 유형도 △기업여신 금리승인 △수입신용장 인수금리 승인 △관심기업 모니터링 등 여·수신, 외환, 카드, 마케팅, 리스크 관리 등 본부 업무 전방위로 확대되어 연간 약 20만 시간의 업무량 절감 효과를 예상하고 있다.
농협은행은 RPA와 AI(인공지능)를 융합하여 금융상품 상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완전판매 여부를 점검하는 로봇 프로세스를 개발 중이며 내년부터 실전에 투입할 예정이라고 밝혀, 불완전판매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대훈닫기

전하경 기자 ceciplus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