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금융지주 본점 / 사진= KB금융지주
은행 수익성에 대한 투자자 우려가 큰 상황에 적극 주가부양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글로벌 금융회사 대비 현저하게 저평가 되고 있는 국내 금융회사 디스카운트 요인 해소를 위한 긍정적 시그널이 전달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KB금융지주는 12월 6일 이사회를 열고 약 1000억원 규모의 자사주 230만3617주를 소각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자사주 소각 규모는 총발행주식수의 0.55%이며, 소각 예정일은 이번달 12일이다.
KB금융지주는 2016년 업계 최초로 자사주를 매입한 이래 현재까지 총 네 차례에 걸쳐 약 1조4000억원 규모 자사주를 사들여 왔다. 이번 소각 대상 자사주는 KB금융지주가 이미 취득해 보유하고 있는 2848만주 중 일부다.
KB금융지주 측은 "KB금융지주는 올 9월말 현재 BIS총자본비율이 15% 이상이고 보통주자본비율은 14%를 크게 상회하는 등 금융권 최고 수준의 자본력을 유지하고 있어서 배당, 자사주 매입 및 소각 등 주주환원 정책을 추진할 수 있었다”며 "자본비율 산출 시 보유중인 자사주는 이미 자기자본에서 차감하고 있는 만큼 이번 자사주 소각이 자본비율에 미치는 영향은 없다"고 강조했다.
미국, 호주, 대만 등 글로벌 금융회사들의 경우 자사주 소각이 일반화 돼 있다.
실제 2018년 기준 글로벌 금융회사들의 평균 주주환원율은 미국이 100% 수준을 웃돌고, 호주나 대만도 60~70% 수준에 달한다.
이에 반해 국내 은행지주회사들의 평균 주주환원율은 30%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상황으로 낮은 수준의 주주환원은 주식시장에서 한국 은행주들의 투자매력도를 낮추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해 왔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