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로보틱스는 건설 현장에 인공지능을 갖춘 산업용 로봇을 투입해 건설 작업을 제조업처럼 자동화 하는 미래 산업 분야다. 현대건설은 드릴링, 페인트칠 같은 단일 작업에서부터 용접 및 자재관리와 같은 정밀 작업까지 앞으로 로봇에 맡긴다는 구상을 발표했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현대건설 R&D센터에 로봇 실험실을 구축해 올해 BIM(3차원 건설 도면)과 연계해 로봇의 움직임을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기존 산업용 로봇은 제조업처럼 고정된 환경에서 단순 반복적인 업무 수행만 가능한 수준으로 건설 현장 투입이 어려웠지만 현대건설은 건설 숙련공의 복잡한 업무 패턴을 프로그래밍화 한 뒤 다관절 로봇에 입력시켜 움직임을 자동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현대건설이 개발한 '다관절 AI 건설로봇'은 사람의 손과 팔만큼 정밀한 작업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자율주행기술을 보유한 운반용 기계 차량에 로봇을 실어 이동성을 확보할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건설 로보틱스로 건설 현장에 제조업과 같은 자동 생산 개념을 도입해 글로벌 시장에서 품질·공기·안전 경쟁력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현대건설은 먼저 내년인 2020년부터 다관절 AI 건설로봇을 드릴링, 페인트칠 등 단일 작업이 가능한 건설 현장에 투입할 계획이다. 용접, 자재정리 등 정밀 작업 공정에도 2022년부터 다관절 AI 건설로봇을 투입해 2026년까지 건설 현장 작업의 약 20%를 다관절 AI 건설로봇으로 대체할 예정이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인구 감소와 노령화로 인한 숙련공 부족으로 건설 현장은 생산성이 하락하고 있다"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기적 대안으로 건설 로보틱스 분야를 선도해 건설 현장에 적합한 다양한 로봇 기술을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사업 기회를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조은비 기자 goodra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