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헌 금감원장은 우리은행 본점에서 22일 우리은행과 5개 자영업단체가 체결하는 ‘포용적금융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식’ 후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윤석헌 금감원장은 "키코 분조위는 금융회사와 피해자쪽 간 합의 가능성을 높이려고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라며 "그런 것들이 시간을 끄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DLS, DLF 사태가 제2의 키코 사태라고 보냐는 질문에는 유사성은 있으나 상품 자체가 다르다고 말했다.
윤석헌 원장은 "모양상으로 보면 옵션상품을 팔았다는 점에서 유사승은 크지만 상품 구조가 다르다"라며 "불완전판매 가능성이 DLS가 있어서 그런 부분 정도는 유사성이 있을 수 있다고 느낀다"고 말했다.
배상비율과 관련해서 윤 원장은 "아직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전하경 기자 ceciplus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