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외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의 규모가 두드러지게 성장함에 따라 국내업 배터리 관련업체들이 핵심 수혜업체로 떠오를 전망이다.
14일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미국·영국·호주·인도 등 해외 국가들의 ESS 도입 규모가 커지고 있음을 언급하며 국내 ESS 배터리업체들의 성장 모멘텀이 재점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한 연구원은 “이 프로젝트는 현재까지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에서 발표된 것 중 가장 큰 규모”라며 “지난해 미국의 전체 ESS 설치량이 약 777MWh였던 것을 감안하면 향후 시장이 얼마나 가파르게 성장할지 가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 ESS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은 “배터리가격의 하락으로 인한 경제성 확보, 주요 주들의 ESS 설치 의무화 등 다양한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미국 ESS 시장은 향후 연평균 72%로 급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영국, 호주, 인도 등 여타지역들도 ESS 도입 규모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13일 영국 최대 육상풍력 단지인 화이트리(WHitelee) 또한 200MWh·50MW의 ESS를 설치하겠다고 발표했다.
한편 중국 업체들의 경쟁력 약화까지 더해져 국내업체들의 ESS 성장모멘텀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한 연구원은 “트럼프 행정부의 중국과의 무역분쟁으로 중국산 ESS가 최대시장인 미국에서 가격경쟁력이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국내 배터리업체들의 글로벌 ESS시장 점유율은 70~80%를 기록할 정도로 높다”고 말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국내 배터리 관련업체들이 전기차에 이어 ESS시장 성장 확대의 핵심 수혜업체가 될 것”이라며 “△상아프론테크, △일진머티리얼즈, △신흥에스이씨, △후성, △천보, △에코프로비엠를 관련 최선호주로 추천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