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나금융그룹은 지난 3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사)유라시아21과 하나금융경영연구소 공동 주관으로 '동북아 초국경 경제협력 포럼'을 개최했다.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부회장(사진 왼쪽에서 두번째),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의원(사진 왼쪽에서 세번째), 잠불라트 떼키에프 연해주 국제협력위원회 위원장(사진 왼쪽에서 첫번째), 김승동 유라시아21 이사장(사진 왼쪽에서 네번째), 알렉세이 스타리치코프 연해주 주정부 관광국장(사진 왼쪽에서 다섯번째)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 하나금융지주
이미지 확대보기하나금융그룹은 지난 3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사)유라시아21과 하나금융경영연구소 공동 주관으로 '동북아 초국경 경제협력 포럼'을 개최했다고 5일 밝혔다.
극동지역 금융, 관광, 물류 등 전략적 경제협력을 모색하는 자리로 네 가지 세션에 거쳐 한국-러시아 학계-법조계 전문 인사가 발제하고 토론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소장, 러시아KEB하나은행 법인장이 '초국경 금융협력'이라는 주제로 발제하고 극동지역 금융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포럼에 참석한 함영주닫기

포럼 종료 후 KEB하나은행 러시아 법인 주도로 국내 및 현지 기업체 대상 기업설명회를 열고 현지화 영업에 박차를 가했다. 러시아 진출 및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 대상으로 투자 설명회와 금융 상담을 진행했다.
하나금융그룹은 러시아 극동개발부 산하 '극동투자 및 수출청(FEIE)'와 업무협약(MOU) 체결을 준비 중이다. 향후 극동개발구역 및 블라디보스토크 자유항에 대한 투자 유치 및 수출입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한편, 하나금융그룹은 신남방-신북방 전략 태스크포스팀(TFT)을 설치해 주요 국가 진출 전략을 수립 중이다.
KEB하나은행은 2008년 모스크바에 사무소를 설립하며 러시아에 진출해 2014년 현지 법인을 설립 영업 중이다. 하나은행 중국유한공사가 동북 3성에 4개 분행을 설치했고 길림은행에도 지분을 투자했다. 극동지역인 블라디보스토크 지역에 영업망 확충을 검토하며 한∙중∙러 삼각 경협 활성화에 대비하고 있다.
하나금융그룹은 저성장·저마진 기조의 국내시장에서 벗어나 2025년까지 글로벌 이익 비중을 4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이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