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는 0.001mm로 100~150㎛의 사람 머리카락보다 약 30배 정도 얇다.
동박은 리튬이온배터리의 음극 접전체로 쓰이는 차배터리 핵심소재다. 동박이 얇을수록 전기차 배터리 성능이 향상된다. 더 많은 음극 활물질을 채울 수 있어, 배터리가 가벼워지고 에너지밀도(용량)도 높아지기 때문이다.
KCFT 관계자는 회사의 독보적인 도금 기술과 발전된 롤투롤 기술에 끊임없는 기술 개발이 더해져서 이번에 4.5㎛ 초극박 제품의 양산화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KCFT는 지난 2013년 6㎛ 동박 양산을 시작으로, 2017년 세계 최초로 5㎛ 제품 양산에 성공하며 기술력을 주목받은 바 있다. 현재 폭스바겐, 아우디, GM, BMW, 테슬라 등 완성차 업체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KCFT 김영태 대표이사는 “KCFT의 끊임없는 도전과 차별화된 기술력이 만나 4.5㎛ 초극박을 세계 최대 50km 길이로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며 “앞으로도 4㎛ 초극박 제품 등 다양한 고객 니즈에 부합하는 다양한 물성의 동박을 공급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전지용 동박 시장을 선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KCFT는 LS엠트론의 사업부에서 출발했다. 지난해 KCFT는 사모펀드 KKR에 인수되며 LS엠트론에서 분사했다. 최근 코스피 상장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