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수기 계절성이 확대되고 국내외 대외변수의 불확실성이 증가함에 따라 올해 2분기 항공업종의 시장 환경이 부정적으로 전망됐다.
22일 최고운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2분기 항공 시장 환경이 1분기와 반대로 부정적이라고 내다봤다.
최 연구원은 2분기는 항공시장의 비수기라고 설명했다. 이에 “지방공항을 중심으로 공급을 늘려온 저비용항공사(LCC)에게는 탑승률과 운임 유지에 어려움이 커질 전망”이라며 “지난 4월부터 5월 현재까지 국적 LCC들의 국제선 여객수는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에 그쳤다”고 말했다.
반면 항공유 가격은 연초 대비 29% 상승했다.
최 연구원은 “유류비는 항공사 매출에서 25% 내외를 차지한다”며 “현재 수준의 유가가 이어진다고 가정한다면 대한항공과 제주항공의 올해 유류비는 각각 3조2000억원, 3900억원 수준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유가가 10% 상승함으로 인해 연간 이익의 1/3에 달하는 비용이 늘어나는 것이다.
원·달러 환율이 최근 한 달간 5% 상승한 것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최근 2년간 반복됐던 주가의 상고하저 패턴에 대해 단기적으로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며 “다만 역설적으로 2분기 실적이 부진할수록 당초 기단 확대계획은 축소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점에서 2분기 주가 조정을 중장기 공급경쟁 완화에 대한 투자기회로 삼을 것을 권유한다”고 덧붙였다.
홍승빈 기자 hsbrob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