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현회 LG유플러스 부회장/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2일 지난 1분기 영업실적이 작년 동기대비 총 수익(매출)은 1.4%, 영업수익과 영업이익은 각각 1.9%, 3.7% 증가했다고 공시했다.
무선가입자 성장은 세계 최초 5G 상용화로 브랜드 이미지 향상, 고객 맞춤형 영상청구서 제공 등으로 고객 편의성 증대, 국내 최초 데이터 제공량과 속도에 제한을 두지 않는 요금제 출시 및 아이돌 Live 등 차별화된 서비스의 효과가 지속되어 가능해진 것으로 분석한다.
유선수익(스마트홈수익+기업수익, 스마트홈 수익(IPTV/초고속인터넷/인터넷전화), 기업 수익(전자결제, 기업메시징 등의 e-Biz/IDC/전용회선/전화)을 합산한 수익)은 스마트홈 부문의 수익 지속 증가 영향으로 9588억 원을 달성, 작년 동기(9229억 원) 대비 3.9%가 상승했다.
스마트홈 수익은 IPTV 및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성장 등에 따라 작년 동기(4407억 원) 대비 13% 증가한 4979억원을 기록해 두 자리 수 성장세를 지속했다. IPTV 가입자는 작년 동기(367만2000명) 대비 13% 증가한 414만9000명을 기록했고,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역시 411만1000명을 기록해 작년 동기(388만1000명) 대비 5.9%의 증가율을 보였다.
넷플릭스 콘텐츠 독점 제공에 따른 영향과 아이들나라 등 특화서비스의 인기가 계속되고 50대 이상 세대를 겨냥한 신규 미디어 서비스 브라보라이프 출시 등이 스마트홈 사업을 견인했다.
2019년 1분기 마케팅비용은 5,122억원을 집행, 작년 동기(5134억원) 대비 0.2% 감소했고, CAPEX는 5G 네트워크 투자가 본격화됨에 따라 작년 동기(2054억 원) 대비 34.8% 증가한 2768억 원을 기록했다.
LG유플러스는 2분기에도 스마트홈 부문의 수익 성장세를 지속해 나감과 동시에 5G 시장에서도 우위를 확보해 무선 성장을 이어나갈 계획이다.
스마트홈 서비스는 키즈플랫폼 아이들나라, 20~30대 매니아층을 형성한 넷플릭스, 시니어 대상 브라보라이프 등 세대별 플랫폼을 연계하고 서비스와 콘텐츠 차별화로 성장을 견인할 계획이다. AI와 IPTV 결합 및 제휴모델 확대도 추진한다.

△LG유플러스가 중장년층을 공략하여 자체 제작한 콘텐츠 및 취향 저격 영상을 제공하는 플랫폼 브라보라이프 홍보 자료/사진=오승혁 기자
기업 서비스는 NB-IoT망을 비롯해 최근 상용화한 LTE-M1 전국망, 5G망 등 3대 사물인터넷 네트워크를 활용해 기존 고정형 IoT는 물론 차량관리, 위치추적 등 이동형 분야로 서비스를 확대할 방침이다. 스마트팩토리 등 기업대상 5G 서비스 분야도 강화한다.
이혁주 LG유플러스 CFO(최고재무책임자) 부사장은 “1분기 모바일과 스마트홈, IDC 사업 등에서 일등사업 수익기반을 지속적으로 강화하는 한편 5G 상용화와 서비스 차별화 준비에 역량을 집중했다”며 “2분기에는 최적의 5G 인프라 환경 조성에 역량을 집중, 서비스 혁신과 차별화된 성장을 주도해 기업가치와 주주가치를 제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오승혁 기자 osh040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