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헌닫기

당초 금감원은 한화생명을 일찍이 확정한 뒤, DB손해보험과 메리츠화재를 두고 최종 조율을 진행하고 있었다. 첫 검사에서는 김용범닫기

한화생명은 지난해부터 이어지고 있는 즉시연금 이슈와 더불어 대형 생명보험사들(삼성생명, 한화생명, 교보생명) 가운데 유일하게 200%대 초반의 지급여력비율을 기록한 바 있다. 한화생명의 전체 즉시연금 미지급금은 850억 원(2만5000건)으로 삼성생명 4300억 원(5만5000건)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메리츠화재는 지난해 600~700%대의 높은 시책(인센티브)을 책정했던 치아보험을 비롯, 장기 인보험을 개발, 판매하는 과정에서 사업비 지출이 많아져 금감원의 주목을 끈 것으로 보인다. 실제 지난해 메리츠화재의 사업비율은 26.57%로 전년 동기(22.9%)보다 3.67%포인트 올랐다. 사업비는 1조7913억 원으로 전년 동기 1조3870억 원보다 29.2%나 늘었다.
단, 금감원은 과거 종합검사와 달리 저인망식으로 모든 분야를 살펴보는 것이 아니라, 몇 가지 핵심 부문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겠다고 천명한 상태다. 따라서 이번 종합검사에서도 꾸준히 문제점으로 지적되던 보험금 지급이나 사업비 지출 등을 집중적으로 살펴볼 것으로 보인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