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일 탐사 전문매체인 뉴스타파는 제보자 A씨의 휴대전화를 포렌식해 분석한 결과, 병원 직원들의 카카오톡 단체 대화방에서 장부를 조작한 정황이 드러났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2016년 4월14일 A씨 등 직원들이 함께 있는 대화방에서는 "난 몰라, 마약 장부 파업", "못해, 힘든 정도가 아니라 수량이 맞지 않는다"는 등의 대화가 오간다. '장부 맞추기'가 불가능할 정도로 프로포폴 관리에 문제가 생겼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또한 이 매체는 이 사장으로 추정되는 이에게 프로포폴 내성이 생겨 약물이 과도하게 투약되고 있다는 대화도 오갔다고 보도했다.
서울 강남경찰서는 이 대화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병원 직원들의 휴대전화를 제출받아 진위를 따져볼 방침이다. 병원 총괄실장 신 모씨를 상대로도 관리대장이 조작됐는 지에 대해 조사할 예정이다.
경찰은 지난 23일 이 병원을 압수수색 후 병원 진료기록부를 확보해 분석 중이다. 하지만, 핵심 자료인 마약류 관리대장은 아직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호텔신라 측은 이부진 사장의 프로포폴 불법투약은 사실이 아니라며 추가로 내놓을 입장은 없다고 밝혔다.
구혜린 기자 hrgu@fntimes.com